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Terminology Between Paramartha’s and Xuanzang’s in the 9th Chapter of the Abhidharmakoshabhasya, in Light of the Translation Principles in Chinese Buddhism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손경록(Kyung Rok SO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71輯, 99~12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구사론』 제9장을 중심으로 진제(真諦, Paramārtha, 499- 569년)와 현장(玄奘, 602-664년)의 한역용어들을 비교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구사론』의 산스크리트어 원문과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들을 음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중국역경전통에 따르면, 음역은 오불번(五不翻) 원칙에, 의역은 정번(五翻)과 의번(義翻)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문 제Ⅱ장에서는 먼저 진제와 현장의 음역 용어들을, 그리고 제Ⅲ장에서는 의역 용어들을 정번과 의번 용례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상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진제와 현장의 한역이 역경 원칙과는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 그들의 한역용어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는 중국역경원칙인 오불번, 정번과 의번 원칙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와 같이 중국역경원칙에 비추어 진제와 현장 한역 용어들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진제와 현장의 한역 용어들의 특징을 중국불교 역경사의 한 부분으로서 통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terminology made by Paramartha(眞諦) and Xuanzang(玄奘) in the 9th chapter of the Abhidharmakoshabhasya(俱舍論).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hinese principles of translation, the transliteration(音譯) corresponds to the phonetic transliteration-in-the-five-cases(五不翻) which means the transliteration should be applied for the exceptional five cases where the literal translation can’t convey the original meanings exactly; while the literal paraphrase(義譯) corresponding to the literal translation(正翻) and the figurative translation(義翻). In light of these traditional translation rules of the Chinese Buddhism,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Chinese terms used by Paramartha and Xuanzang by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of phonetic transliteration and semantic literal translation. In this survey, I found that their translation generally coincide with the traditional principles of translation. Although Xuanzang is known to have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the transliteration, but there must have been a sort of practice of translation before him judging from this coincidence. Anyway,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were eventually presented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dilemmas of translation itself,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their actual application of the rules. Compared with Paramartha’s, Xuanzang’s has more literal terms(義譯), notably in proper nouns (as in ‘毘伽羅論師’→‘記論者’). Xuanzang seems to have preferred the literal translation to transliteration, to make it easier and clearer for the average read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However, despite Xuanzang’s ground-breaking translation with his own new terms, it’s quite surprising that his terminology coincide with Paramartha’s than expected, which means he must have referred to Paramartha’s whose terminology is basically comprised of older terms(舊譯). And it also indicates that each of them employed the older terms that were verified throughout the history. The fact that his terminology has many parts in common with the Paramartha’s reveals that the history of translation from Sanskrit into Chinese of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Buddhism was the result of such a collective intelligence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목차

Ⅰ. 서론
Ⅱ. 오불번 원칙에 따른 음역 비교
Ⅲ. 정번과 의번 원칙에 따른 의역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경록(Kyung Rok SON). (2025).『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보조사상, (), 99-127

MLA

손경록(Kyung Rok SON). "『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보조사상, (2025): 99-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