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siting the Yakkha Narrative as Described in the Āḷavakavaṇṇāna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안병준(Byoungjun Ahn) 김경래(Kyungrae Kim)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71輯, 233~2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약카는 하위신격이자 종족을 이루고 있는 생명체로 고대 인도인들에게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는 나무정령으로서 이미 이른 시기부터 대중적인 민간신앙으로 숭배되어왔다.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였던 브라만전통과 불교 및 자이나와 같은 종교들은 이 매력적인 신앙을 저마다의 모습으로 재해석하여 흡수했다. 불교전통, 특히 테라와다 전통의 경우 방대한 주석문헌의 내러티브를 통해 불교적 관점으로 재해석된 약카가 등장하게 된다. 선악의 양면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독특한 캐릭터로 묘사되는 약카는 나무에 숨어 식인을 일삼는 모습으로 표현되는 한편 붓다의 가르침을 듣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진실한 불자의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약카신앙의 불교적해석 과정을 통한 수용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주석서 『빠라맛타조띠까(Paramatthajotikā)』의 『알라와까 숫따(Āḷavaka Sutta)』 도입부에 대한 주석을 분석했다. 주석서 속에서 약카는 나무정령으로의 모습과 함께 거대한 궁전과 시녀들을 거느리고 있는 폭군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약카는 식인을 하며, 변신과 비행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약카는 앞서 언급했듯 유일한 존재라기보다, 하나의 종족을 이루는 존재들의 명칭으로, 사람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자신만의 이름과 능력, 그리고 성향을 지닌 존재들로 묘사된다. 다양한 약카들 중에서도 특히 알라와까 약카는 난폭하지만 예류과에 임박했고, 마초적이지만 섬세한 심리변화를 이어가는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악역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불교전통이 당시 유력했던 민간신앙을 흡수하는 과정, 방대한 주석문헌의 해석학적 의도와 방법, 그리고 불교 내러티브들의 원형과 전개상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Yakkha is a tree spirit that symbolizes abundance and prosperity among ancient Indians, and has been worshiped as a cult. For the Brahman tradition, and other religious traditions such as Buddhism and Jainism, the Yakkha worship was absorbed and reinterpreted in their own form. In the case of Buddhist tradition, Yakkha, reinterprete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emerges through vast commentary literature. In Buddhist literature, Yakkha is mainly described as a unique character with both good and evil through narratives. They are sometimes depicted as monsters hiding in trees and cannibalizing, or as sincere Buddhists who go on a trip to listen to the Buddha's teachings. In the commentary, Yakkha was depicted as a tyrant with a huge palace and maids, not a tree spirit. They have cannibalism, as well as transformation and flight ability, and they were like tribes, so they had different names, abilities, and tendencies. In particular, Alavaka Yakka is described as an attractive villain who continues a macho but delicate psychological change despite being violent. From this research,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Buddhist tradition absorbing folk beliefs at the time, the hermeneutic intentions and methods of extensive commentary literature, and the archetype and development of Buddhist narr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약카 신앙의 성립과 전승
Ⅲ. Āḷavakasuttavaṇṇāna의 재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곡 김잉석의 보조 연구에 대한 소고
- 『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 『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 탑돌이에 나타난 우요(右繞)의 상징과 의미
- 중국불교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에 대한 관점 - 도생, 법운, 천태지의를 중심으로
-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 목우가풍의 존재론적 위상과 계승 - 불교 정신문화 교류를 중심으로
- 약카(Yakkha) 신앙의 불교적 해석과 수용 - Āḷavakavaṇṇāna를 중심으로
- 도섬(道暹)의 생애와 저작 - 기초 연구 및 진위 검토
- 사찰음식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