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ife and Works of Daoxian : A Preliminary Study and Examination of Authenticity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이재윤(Jaeyun Lee)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71輯, 201~2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섬(道暹)은 8세기 무렵 활약했던 중국 천태종의 승려이다. 몇몇 저작이 현존하며, 후대 문헌에서의 인용 관계를 미루어 보면 중국과 일본의 천태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도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도섬에 대한 향후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도섬의 사적을 수집하여 행장을 구성하고 귀속 저작의 진위 여부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섬에게는 정리되어 있는 전기가 전하지 않는다. 그의 저작인 『법화문구보정기』의 찬호(撰號)를 비롯하여, 지원(智圓, 976-1022)의 『유마경약소수유기』, 찬녕(贊寧, 919-1002)의 『송고승전』, 지반(志磐, 13세기)의 『불조통기』 등의 일부 문헌에서 도섬에 관한 파편적인 정보만이 확인될 뿐이다. 이러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도섬의 생애는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많지만, 담연(湛然, 711-782)의 직계 문인으로서, 담연 교학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 및 목록류를 종합하면, 도섬에게 귀속되는 저작으로는 도합 8부 39권이 확인된다. 그러나 동일 저작임에도 목록류에 따라 저자명에 상위가 있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동일 목록에서도 이본에 따라 저자명에 혼란이 있는 경우도 적지 않게 발견된다. 목록류와 관련 자료의 분석을 통해, ①『법화문구보정기』, ②『열반경소사기』, ③『유마현소기』, ④『유마소사기』의 4부만을 도섬의 저작으로 판정할 수 있었다. 이외의 저작은 진위가 의심되는 것이거나 다른 이의 저작이 도섬의 저작으로 오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도섬의 저작이 다른 이의 저작으로 오인되면서 혼란이 발생한 경우도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Daoxian (道暹) was an 8th-century Chinese monk of the Tiantai school who authored several extant works.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ir citations, Daoxian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later Buddhist thought. However, research on Daoxian remains insufficient, leaving many aspects of his life and ideas unclear.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foundational research on Daoxian by collecting historical records, reconstructing his life, and re-evaluating the authenticity of the works traditionally attributed to him.
Biographical records about Daoxian are fragmented and lack a cohesive narrative. References to his life and activities appear sporadically in limited texts, such as his own Fahuawenjufuzhengji (『法華文句輔正記』), Zhiyuan's (智圓, 976-1022) Weimojinglueshuchiyuji (『維摩經略疏垂裕記』), Zanning's (賛寧) Songgaosengzhuan (『宋高僧傳』), and Zhipan's (志磐) Fozutongji (『佛祖統紀』). Due to these limitations, many aspects of Daoxian's life remain unclear.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Daoxian was a direct disciple of Zhanran(湛然, 711-782) and contributed to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Zhanran's teachings.
A synthesis of prior research and catalog sources reveals eight works comprising 39 volumes attributed to Daoxian. However, discrepancies in authorial attributions between catalogs and inconsistencies across different versions of the same catalog prompted further scrutiny. After careful examination of these catalogs and related materials, the following four works were confirmed as authentic compositions by Daoxian: 1.Fahuawenjufuzhengji (『法華文句輔正記』), 2.Niepanjingshusiji (『涅槃經疏私記』), 3.Weimoxuanshuji (『維摩玄疏記』), 4.Weimoshusiji (『維摩疏私記』). The other works traditionally attributed to Daoxian were found to be either of questionable authenticity or misattributions of texts authored by others. Conversely, cases were identified where Daoxian’s works were erroneously attributed to other authors.
목차
Ⅰ. 서론
Ⅱ. 행장의 구성
Ⅲ. 귀속 저작에 대한 재검토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곡 김잉석의 보조 연구에 대한 소고
- 『구사론』 제9장에 대한 진제와 현장의 한역용어 비교 - 중국역경원칙에 따른 음역과 의역 비교
- 『범망경』 십중계(十重戒)의 범죄 구성요건에 관한 연구 - 신라 승려들의 인(因)·연(緣)·법(法)·업(業) 이해를 중심으로
- 탑돌이에 나타난 우요(右繞)의 상징과 의미
- 중국불교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에 대한 관점 - 도생, 법운, 천태지의를 중심으로
- 돈황본 『수심요론(修心要論)』의 신(信)과 신행(信行) 연구
- 목우가풍의 존재론적 위상과 계승 - 불교 정신문화 교류를 중심으로
- 약카(Yakkha) 신앙의 불교적 해석과 수용 - Āḷavakavaṇṇāna를 중심으로
- 도섬(道暹)의 생애와 저작 - 기초 연구 및 진위 검토
- 사찰음식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