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Witness Protection Programs in Criminal Procedur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양경규(Kyung-Kyoo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3호, 281~3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형사소송절차에서 증인은 아주 중요한 지위를 가진다. 증인의 진술은 사실관계의 규명이나 실체적 진실발견을 위한 아주 중요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고, 증인의 진술에 따라 재판장이 그 사건에 대한 유무죄의 심증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그동안 우리 형사소송절차에서는 증인의 출석의무, 선서의무, 진술의무 등 증인의 의무만을 강조해왔을 뿐 권리에 관하여는 별로 규정을 두지 않았다. 겨우 형사소송법 제148, 149조에서 증언으로 인하여 자기 또는 근친자의 형사책임이 있는 경우와 업무상 알게 된 비밀에 해당하는 경우 증언거부권이 있을 뿐이고 증인으로 출석하였을 때 증인 여비를 받을 수 있을 뿐이다.
한편 1999년 8월에 증인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으로 특정범죄신고자등보호법이 제정되고 2008년 12월에 이를 개정(3차 개정)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증인에 대한 신변보호 등의 문제는 남아 있다. 이러한 증인 등에 대한 신변보호 등의 문제가 남아 있는 한 증인으로부터 적극적인 신고와 증언 등을 받아내기란 여가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에 증인의 신변보호 등과 관련하여 증인보호제도의 정비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에는 형사절차상 증인보호를 위해 어떤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는지 살펴본 다음, 우리나라의 현행 증인보호제도들을 살펴보고 앞으로 어떻게 보완되어야 할지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영문 초록
The witness protection is more important because the recognition of the occurrence of crimes plays a major role in the criminal procedures.
The invasion risk on life, body and freedom of witness and his or her family members makes testifier's attendance hindered or caused the testifier to have fear about their testimony. As a result, the fear causes the testifier to witness false statement and bears the obstacle in the realistic truth discovery. Therefore most people mind the report of crime and they are willing to avoid the responsibility of witness.
So far, the victim or witness protection has not been neglected from invasion risks until the interest il witness arises lately. For the effective witness probation system, the endless interest is required within the limit of the national financial capacity, and the willingness to establish the witness probation system needs.
목차
Ⅰ. 서론
Ⅱ. 증인의 개념과 증인보호의 필요성
Ⅲ. 외국의 증인보호제도
Ⅳ. 우리나라에서의 증인보호제도와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통유도경비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성폭력 방지를 위한 CPTED 전략
- 여성경찰 임용의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고찰
- 사형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국제 테러리즘의 변화와 전망, 그리고 대안
- 도박문제에 대한 치료ㆍ감독기관 활동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군행형법 개정의 의미와 문제점
- 위해범죄 사례분석을 통한 경호 효율화 방안
- 사회적 지원과 범죄 : 지방정부의 사회적 지원이 재산범죄에 미치는 영향
- 경호공무원의 스트레스 불안 대처방식
- 민간경비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 형사절차상 증인보호방안에 관한 고찰
- 국제해양범죄에 대한 해양경찰의 효율적 대응방안
- 1990년대 이후의 중동 테러리즘에 대한 분석과 대응
- 경찰일탈의 효율적 관리에 관한 연구 : 미국 내 조기경보시스템(EWS)을 중심으로
- 아동성폭력 예방을 위한 아동안전지킴이집 제도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Smart Public Transportation Governance for Integrated Mobility, Welfare, and Economy in a Super-Aged Society: A Case Study of Gyeonggi Province and Strategies for National Expansion
- Gender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Legislative Effectiveness of Kenya’s Nominated County Assembly Members
- The Emerging and Mapped Discourse of Age-Tech in China: A Textual Analysis of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Narrativ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