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e Amended Military Penal Execution Act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천정환(Jung-Hwan Chun)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3호, 179~2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62년에 군교정에 관한 특수 행정법인 군행형법이 최초로 제정된 이래 2009년 이전까지 여러 차례의 부분적인 수정이 있었는데 이러한 국지적인 수정은 소위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말하는 기존의 제도를 수확체증적으로 자기확대를 하는 경로의존적인 개정이란 점에서 큰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2009년에 전면 개정되어 2010년 5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개정군행형법은 기존의 경로의존적인 개정에서 벗어날 만큼 이전의 개정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전면 개정이란 점에서 군행형법 개정사에서 획기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주변부적 지위에 있다 보니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리고 군행형법은 행정법과 교정복지적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지만 여기에서는 주로 교정복지를 중심으로 한 학제적 접근을 하였다. 우선 기본배경으로서 먼저 행정법으로서의 군행형법의 지위와 내용을 기술하였다. 그다음에는 행형이념에 대해 선행연구를 소개하고 발전적인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그다음에는 전면 개정된 군행형법의 내용과 의의 및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개정군행형법의 내용을 군수용자의 인권강화, 군수용자의 건강권 강화, 군수용자의 외부교통권 강화, 군수용자에 대한 교화프로그램의 강화, 군교정행정의 민주성 강화로 나누었다. 그리고 개정군행형법의 의의를 인권복지적 측면, 가족복지적 측면, 교정복지적 측면, 의료사회복지적 측면, 산업복지적 측면으로 나누어 사견으로 운론하였다. 그리고 군교정복지레짐은 민간복지레짐에 잔여적(residual)이며 군보안 생산레짐이라는 상징레짐에 보완적이고 하위기능으로만 존재한 경로의존적인 군행형법 개정의 한계를 운론하였다. 그리고 개정군행형법의 문제점을 교정이념적 측면, 인권적 측면, 교정재 생산레짐적 측면, 교정재 생산프로그램적 측면으로 나누어 학제적 관점에서 기존의 주류이론들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독창적으로 상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t with the meaning of the amendment of the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act. Although many amendment of the amended military administration before the year 2009 have been executed, they seem to have not shown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the amendment of it in the light of the existing path-dependence amendment which is derived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clusive of the law of increasing return. But the amendment in 2009 of the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artial amendment of it on the ground that the amendment in 2009 of it can get out of the existing path-dependence amendment of it. But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tried to deal with the amended criminal administration act in 2009 in spite of the epoch-making amendment in the history of the amendment of th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act. In consequence in this study, I will concentrate on the following issue : significance of it and problem of it. To begin with, space is limited, I concentrated on and explored in my opinion military prisoner's human rights, military prisoner's medical rights, military prisoner's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y, correctional welfare service for military prisoners, democratic contents of the military correc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like on contents of the wide military correctional social welfare. In turn, I dealt with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the amended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act in 2009 through reviewing human rights social welfare, family social welfare, correctional welfare, medical social welfare, industry social welfare and so on. Especially, I invoked the citizenship theory of T.H marshall and the de-commodification theory of Esping-Andersen and the like in the social welfare policy science for the dynamic and macro understanding of the amended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act. In consequence, We can understand the residual limit of it and the path-dependence amendment of the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act which is dependent on the civil criminal administration act. And there is a further question which needs to be asked in the military criminal administration act. It is the adoption of the path-breaking perspective through the military correctional paradigm as social welfare ideology in military prison instead of the correctional paradigm as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ideology linked with existing path-depend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토
Ⅲ. 개정법률의 주요내용
Ⅳ. 군행형법 개정의 의의
Ⅴ. 개정군행형법의 문제점
Ⅵ.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통유도경비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 성폭력 방지를 위한 CPTED 전략
- 여성경찰 임용의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고찰
- 사형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국제 테러리즘의 변화와 전망, 그리고 대안
- 도박문제에 대한 치료ㆍ감독기관 활동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군행형법 개정의 의미와 문제점
- 위해범죄 사례분석을 통한 경호 효율화 방안
- 사회적 지원과 범죄 : 지방정부의 사회적 지원이 재산범죄에 미치는 영향
- 경호공무원의 스트레스 불안 대처방식
- 민간경비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 형사절차상 증인보호방안에 관한 고찰
- 국제해양범죄에 대한 해양경찰의 효율적 대응방안
- 1990년대 이후의 중동 테러리즘에 대한 분석과 대응
- 경찰일탈의 효율적 관리에 관한 연구 : 미국 내 조기경보시스템(EWS)을 중심으로
- 아동성폭력 예방을 위한 아동안전지킴이집 제도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Smart Public Transportation Governance for Integrated Mobility, Welfare, and Economy in a Super-Aged Society: A Case Study of Gyeonggi Province and Strategies for National Expansion
- Gender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Legislative Effectiveness of Kenya’s Nominated County Assembly Members
- The Emerging and Mapped Discourse of Age-Tech in China: A Textual Analysis of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Narrativ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