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호공무원의 스트레스 불안 대처방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Stress, Anxiety and Coping of Security Agent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환목(Hwan-Mok Kim) 이상철(Sang-Chul Lee)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3호, 157~1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호업무는 완벽을 요구하는 업무특성과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환경 행사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사이에서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와 상황에 대한 불안감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적당한 긴장과 스트레스, 불안은 잠재능력 개발과 최고 수준의 전력을 유지토록 하며 업무 활성화와 자신감을 도모 토록하는 긍정적 계기가 되기도 하지만 그 정도가 지나친 경우 동일한 근무 상황에서도 더 위협적으로 지각하여 업무수행 및 개인 건강에도 문제를 일으키며 조직 자체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즉 경호업무수행에 있어 스트레스와 불안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경호 경비업무 수행공무원의 스트레스와 불안의 유형 및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대처방식의 연구로 경호업무의 질적 향상과 개인의 심리적·육체적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 특성별 스트레스 정도는 경찰공무원, 22특경, 일반공무원, 대통령실 경호처 순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 요인별 정도는, 업무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다음이 평시업무, 자신문제 스트레스 순이다. 둘째, 업무 특성별 불안의 상관은 자신문제 스트레스와 사회·대인 불안,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사회·대인 불안이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고, 업무·특성 불안이 스트레스 전체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며, 자신문제 스트레스가 불안 전체에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업무 특성별 스트레스와 불안의 상관관계는 일반공무원의 경우 불안이 곧바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22특경, 경찰공무원, 경호처 순이었다. 넷째, 경호 경비 업무 부서의 경호 행사간 느껴지는 불안 정도 비교에서는 대통령실 경호처가 22특경 보다 높았으며, 경호 행사장 주변 소음 요소가 가장 큰 불안 유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처 유형별 조사는 도전적 대처는 대통령실 경호처가 제일 많이 사용하고, 회피적 대처는 22특경이 다른 부서에 비해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여섯째, 스트레스와 대처와의 상관에서 스트레스와 도전적 대처는 역상관을 보이고, 회피적 대처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일곱째, 만족도와 스트레스·불안의 상관은 스트레스가 불안보다 높은 역상관을 보였다.

영문 초록

A security job various characteristics in working environments in which agents can experience stress and discomfort against their lives because of its unpredictable results and uncertainties. Stress to a certain degree is often considered help agents exercise their ability highly and provide confidence to them. However, stress can do a lot of damage to their job, thus ending in undesirable results. That is to say, stress and anxiet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a security job. The end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ype and range of stress so that we can promote job quality and psychogical stability of security ag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licemen rank first, in terms of stress concerned with job, 22nd special security agents second, government officials third and P.S.S agents rank last. Stress with job environments was the most remarkable cause, while stress with general works and personal matters were second and third. Second, the cause and extent of anxiety with job was highest for general government workers, 22nd special security agents second, policemen third and agents of P.S.S last. Third, stress and anxiety with job were most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especially stress with several tests and job itself. Fourth, in terms of anxiety in security organizations, P.S.S was highest and the 22nd special security agents next. Noises in and around event sites was the most remarkable factor. Fifth, the survey to deal with anxiety shows that P.S.S employs challenging ways and the 22nd special security agents uses evading ones. Sixth, the inte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anaging ways it shows that positive stance to stress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extent of stress, and negative position to it is in proportion to the extent of stress. Lastly, the more stress officials feel, the worse effects it has on the satisfaction of the job.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환목(Hwan-Mok Kim),이상철(Sang-Chul Lee). (2010).경호공무원의 스트레스 불안 대처방식. 한국치안행정논집, 7 (3), 157-177

MLA

김환목(Hwan-Mok Kim),이상철(Sang-Chul Lee). "경호공무원의 스트레스 불안 대처방식." 한국치안행정논집, 7.3(2010): 157-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