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로움 인식에 따른 집단 비교

이용수  81

영문명
The Impact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on Mental Health : A Group Comparison Based on the Perceived Lonelines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김미경(MiKyung Kim) 이민규(MinKyu Rhee)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3호, 1067~10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정신건강 어려움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5,098명을 외로움 인식 여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외로움 인식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고, 각 집단의 주요 변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운 집단과 외롭지 않은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우울, 알코올 중독, 자살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외롭지 않은 집단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우울, 알코올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외로운 집단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우울, 알코올 중독, 자살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즉,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은 정신건강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이를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effect mental health. These approaches help relieve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Data from the 2021 Mental Health survey, which included 5.098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them into lonely and non-lonely group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depression, alcoholism, and suicide between the lonely and non-lonely groups. Second, the non-lonely group’s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re associated with and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and alcoholism. Third, the lonely group’s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are associated with and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alcoholism, and suicide. In other words,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were major predictors of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addressing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in our societ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MiKyung Kim),이민규(MinKyu Rhee). (2025).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로움 인식에 따른 집단 비교. 한국과 국제사회, 9 (3), 1067-1092

MLA

김미경(MiKyung Kim),이민규(MinKyu Rhee).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로움 인식에 따른 집단 비교." 한국과 국제사회, 9.3(2025): 1067-10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