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 정서조절 전략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7

영문명
The Effects of Career Stres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노승현(Seunghyun Roh)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3호, 311~3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서조절 전략은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전략으로 구분되며, 각 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로스트레스 상황에서 정서조절이 어떠한 심리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전국 37개 대학에서 장애대학생 305명을 표집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7.0을 활용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포함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스트레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능동적 전략과 지지추구적 전략은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회피・분산적 전략은 유의하지 않았다. 대학의 위치와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진로심리 변인 간 차이도 확인되었고, 수도권 대학 재학생과 선천적 장애 대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다. 이 결과는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정서조절 전략을 반영한 맞춤형 진로상담과 심리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서 포용적 진로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career stres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motion regulation was divided into active, support-seeking, and avoidant-dispersive strategies. A total of 305 students from 37 universit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7.0 revealed that 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tive and support-seeking strategies moderated this relationship, while the avoidant-dispersive strateg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Furthermore, students from metropolitan universities and those with congenital disabilities demonstrated relatively higher self-efficacy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 regulation can act as a psychological buffe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career stres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ailored career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The findings also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building inclusive career support systems within higher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승현(Seunghyun Roh). (2025).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 정서조절 전략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9 (3), 311-338

MLA

노승현(Seunghyun Roh).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 정서조절 전략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9.3(2025): 311-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