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리지우상(Jiuxiang Li) 이정우(Jungwoo Lee)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6권 제2호, 73~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중학교 체육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의 목표 영역과 주제에 대한 관점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과 한국의 체육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의 목표는 주로 사회·정서적, 행동적 측면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사회·정서적 영역 중 ‘다양한 차원의 정체성’, 행동적 영역 중 ‘개인적·집단적으로 취할 수 있는 실천’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개인적·집단적으로 취할 수 있는 실천’뿐만 아니라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 ‘참여하고 실천하기’까지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는 한국의 체육 교육과정이 세계시민교육의 이상을 체육 수업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실현하기에 유리함을 시사한다. 둘째, 두 나라의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점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공존한다. 중국의 경우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국가주의적 관점이, 목표 및 성취기준에서는 신자유주의적 관점이 드러난다. 반면 한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성격, 목표, 성취기준 전반에서 세계정의 및 거버넌스 관점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신자유주의적 관점도 일정 부분 함께 존재한다. 특히 성취기준 해설과 ‘교수·학습’ 영역에서 민주시민의식, 생태전환, 지속가능발전 등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요소들이 명시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창의성과 인성 함양이 강조된다는 점은 한국 체육 교육과정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교육과정이 ‘시민교육’을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반면, 중국의 교육과정은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암묵적으로 내포하고 있을 뿐이라는 점에서, 향후 중국 교육과정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와 이상을 보다 명확하게 체육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한국의 교육과정 역시 특정 요소에 치중된 경향을 극복하고,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내용 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개선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spectives on the goals and them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of China and South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both curricula emphasize the socio-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focus. In China, the curriculum highlights “multiple dimensions of identity” within the socio-emotional domain and “individual and collective action” within the behavioral domain. In contrast, the South Korean curriculum not only emphasizes “individual and collective action,” but also includes “ethical and responsible behavior” and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This suggests that South Korea’s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more conducive to realizing the ideal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both countries’ curricula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ina, the curriculum reflects a nationalist perspective in its stated nature, and a neoliberal perspective in its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n the other hand, the South Korean curriculum strongly reflects a global justice and governance perspective throughout its nature,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le also incorporating elements of neoliberalism. Notably, the Korean curriculum explicitly presents key compon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such as democratic citizenship, ecological transi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pecially in the achievement standard explanations and teaching-learning sections. It also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is a distinct feature of South Korea’s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Unlike South Korea’s curriculum, which explicitly incorporates “citizenship education,” China’s curriculum only implicitly contains the potential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China’s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explicit efforts to reflect the aims and ideal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Likewise, South Korea’s curriculum should go beyond emphasizing a few elements and strive to incorporate a broader rang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 more actively.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분석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죽음준비교육이 농촌교회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성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판소리 교육의 융합적 적용 가능성 탐색 : 전공 연계 창작 중심 수업 사례
- 판소리 춘향가 중 ‘어사와 장모’ 대목의 리듬 구조와 선율 구조 관련 전승변이 연구 : 정정렬·김여란·최승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