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in Science Inquiry Classes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하늘(Haneul Lee) 최원호(Wonho Choi)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6권 제2호, 13~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수업은 하루 5시간씩 4일 동안 진행되었고, 1일차 수업은 연구 문제를 제공하였으며, 2일차 이후의 수업은 학생들이 이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수업 전후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 검사를 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인식과 이유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결과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평소에 가지고 있는 생각이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라는 과학의 본성 이해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탐구 과정 중 문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실험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실험 도구를 목적에 맞게 개선한 경험도 과학, 기술의 관계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료와 함께 문제를 해결한 경험과 다른 조의 발표를 듣고 자신의 개선 방안을 찾는 경험이 학생들의 과학, 사회의 관계 인식에 도움을 주고, 논리적인 과학 탐구 활동에 대한 경험이 과학, 사회의 관계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 이해를 위해 동료와 소통하고 여러 주차에 걸쳐 학생들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형태의 과학 실험 수업을 중등학교의 과학 수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their perceptions of classes in inquiry classes for high school students apply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es were held for four days, five hours a day, and on the first day, research problems were provided, and on the second day and after class, students set research problems and solved problems based on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Before and after class, a perception test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students’ class perceptions and reasons for the class were investigated after class. Through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 results, it was found that students’ usual thoughts influence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appropriate experimental tools to solve problems during the inquiry process or the experience of improving the given experimental tools to solve problems for the purpose also help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olving problems with colleagues and finding ways to improve themselves by listening to other groups’ presentations helps students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and the experience of logical science inquiry activities helps students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science experiment classes in the form of communicating with colleagues and continuously solving problems over several weeks to science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죽음준비교육이 농촌교회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성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판소리 교육의 융합적 적용 가능성 탐색 : 전공 연계 창작 중심 수업 사례
- 판소리 춘향가 중 ‘어사와 장모’ 대목의 리듬 구조와 선율 구조 관련 전승변이 연구 : 정정렬·김여란·최승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