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의 영어 선행학습 자가진단을 통한 영어 능력과 흥미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Ability and Its Interest through College Freshmen’s Self-Reported English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발행기관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박은정(Eunjeong Park)
간행물 정보
『현장수업연구』제6권 제2호, 1~1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고등학교 시절에 경험한 선행학습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실제 능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습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2024학년도에 입학한 신입생 1,473명이며, 이들이 고등학교에서 영어 I, 영어 II의 이수 여부가 대학에서의 영어 학습 흥미와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네 가지 영역의 영어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고등학교에서 영어 과목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은 영어 능력을 보이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과대학별로 분석했을 때 일부 전공군에서는 영어 흥미와 능력이 모두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일부 이공계열 및 인문예술계열 학과에서는 영어에 대한 흥미와 역량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 분야에 따른 교육과정과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며, 학생 개인의 배경과 전공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습 역량을 강화하고, 효과적인 영어 대학 교육과정 설계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abilities of college freshmen toward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ir self-reported prior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to find effective ways to support their learning. The study included 1,473 freshmen from the class of 2024, and examined the impact of high school English course completion (e.g., English I and/or English II) on college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that students who took English courses in high school had relatively higher perceived English proficiency. In addition, the analysis by college showed that certain majors had relatively high English learning ability, while some science, engineering, and humanities majors had lower English proficiency and inter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artmental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may affect student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highlighting the need for customized learning support.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enhancing the learning capacity of freshmen students and can be used to design effective curriculum and support programs.

목차

I. 서론
II.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정(Eunjeong Park). (2025).대학 신입생의 영어 선행학습 자가진단을 통한 영어 능력과 흥미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현장수업연구, 6 (2), 1-12

MLA

박은정(Eunjeong Park). "대학 신입생의 영어 선행학습 자가진단을 통한 영어 능력과 흥미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현장수업연구, 6.2(2025): 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