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대학생 금융이해력 과신과 온라인 신용 사용

이용수  9

영문명
Financial Literacy Overconfidence and Online Credit Use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마웨이화(WEIHUA MA)
간행물 정보
『현장수업연구』제6권 제2호, 33~7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대학생들이 온라인 금융, 특히 온라인 신용 상품에 접근할 때 자신의 금융이해력이 부족하거나 과신으로 인해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온라인 대출 기관이 온라인 대출 상품을 홍보하여 대학생들의 과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금융이해력, 그리고 금융이해력 과신, 특히 잘못된 본인평가와 잘못된 비교평가의 교호작용이 대학생의 온라인 신용 사용 행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해서 연구한다. 연구 가설은 금융이해력은 대학생 연체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고, 잘못된 본인평가와 잘못된 비교평가가 각각 대학생 신용 사용을 촉진할 것이며, 잘못된 본인평가와 잘못된 비교평가 간에 양의 상관성이 성립한다면 과대평가와 우위평가가 교호적으로 대학생의 신용 사용을 촉진하리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실증적 검정에서 종속 변수는 월수입 대비 월 상환금액이 차지하는 비율, 온라인 신용 사용 빈도와 연체 빈도이며, 설명변수로는 금융이해력 실제 점수, 잘못된 본인평가, 잘못된 비교평가(양적과 질적으로 구분), 교호변수(잘못된 본인평가*잘못된 비교평가)이다. 그밖에 사회경제학적 및 금융 경험 등을 통제 변수로서 활용한다. 기초 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변량 회귀 분석을 진행하고 분석 결과에서 관찰되는 각 독립변수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평가한다. 분석 결과를 근거해서 중국 대학생들의 금융이해력 실태를 밝히고, 금융이해력 과신과 온라인 신용 사용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금융교육에 있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중국은 보다 체계적인 금융교육을 도모하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향후 금융이해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물론 단순한 금융 지식 교육 넘어서, 태도와 인지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영문 초록

When Chinese college students access online finance, especially online credit products, they are likely to make irrational decisions due to their lack of financial literacy or overconfidence, and online lenders may promote online loan products to induce college students to overconsum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literacy overconfidence, especially the interaction of misestimation and misplacement, with college students’ online credit use behavior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es are that financial literacy will act to reduce the frequency of student loan defaults, misestimation and misplacement will each promote online credit use among students, and if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sestimation and misplacement, misestimation and misplacement will interact to promote online credit usage among students. In the empirical tes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ratio of monthly repayment to monthly income, the frequency of online credit usage, and the frequency of defaults. The explanatory variables are the actual financial literacy score, misestimation, misplacemen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d interaction variables (misestimation * misplacement). Additionally, socioeconomic status and financial experience are used as control variable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to determine and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bserved in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e of financial literacy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literacy overconfidence and online credit use,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 financial education. Firstly, systematic financial education in China is urgently needed, starting with legal and policy foundation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ly, efforts to improve financial literacy should go beyond basic financial knowledge to enhance attitudes and cognition. For financial education to be effective, it should not merely convey objective knowledge but also aim to boost students’ confidence.

목차

I. 서론
II. 연구 가설 및 연구 방법
III. 분석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웨이화(WEIHUA MA). (2025).중국 대학생 금융이해력 과신과 온라인 신용 사용. 현장수업연구, 6 (2), 33-72

MLA

마웨이화(WEIHUA MA). "중국 대학생 금융이해력 과신과 온라인 신용 사용." 현장수업연구, 6.2(2025): 3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