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ésidu phonologique de l'influence coloniale française: comparaison de la réalisation du suffixe passif ‘w’ en kinyarwanda et en kiswahili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전온리(Only JEON)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5집, 209~2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반투어 계열의 Kinyarwanda와 Kiswahili에서 수동형 접사 ‘w’의 발음 실현 양상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식민 언어의 음운 체계와 언어 인지 구조의 차이에서 분석하였다. Kinyarwanda와 Kirundi에서는 ‘w’가 [gw], [kw] 등으로 자음군화되어 발음되며, 이는 프랑스어의 /w/ 부재와 발음 지도 방식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Kiswahili에서는 영어와 아랍어의 영향으로 /w/가 안정적으로 전이되어 유지된다. 본 연구는 동일한 철자가 언어 사용자들의 식민 교육, 인지 구조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는 현상을 탈식민 언어학과 음운론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언어 인지와 권력 구조 간의 상호작용을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Cette étude compare la réalisation phonologique du suffixe passif « w » dans deux langues bantoues, le kinyarwanda et le kiswahili, en analysant les différences sous l'angle des systèmes phonologiques des langues coloniales et de la cognition phonémique. Dans le kinyarwanda et le kirundi, le « w » est souvent réalisé sous forme de groupes consonantiques tels que [gw] ou [kw], ce qui peut être interprété comme une influence de l'absence du phonème /w/ en français et des méthodes d'enseignement de la prononciation durant la période coloniale. En revanche, dans le kiswahili, le phonème /w/ est maintenu de façon stable comme une glide, en raison de l'influence de l'anglais et de l’arabe. Cette recherche analyse de manière intégrée, selon les perspectives de la phonologie et de la linguistique postcoloniale, la manière dont un même graphème peut être réalisé différemment selon les stratégies articulatoires, l’éducation coloniale et les structures cognitives des locuteurs. Elle met en lumière l'interaction entre la cognition linguistique et les structures de pouvoir.
목차
1. 서론
2. 반투어 음운 구조와 식민 언어 접촉의 인지적 영향
3.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 불안정 요인연구: M23과 민족 정체성의 관계
-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샤를 9세의 통치 연대기』에 나타난 대화주의
- AI 시대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에서챗GPT 프롬프트 설계 및 수업 적용 방안 연구
- 프랑스 아동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코미디 뵈르 영화의 문화적 정체성과 희극적 장치
- 화가 미쇼와 이응노 사이 교류된 ‘미술 밖 공간’에 관한 고찰: 폴 파케티 - 자오 우기 - 추상예술
- 아니 에르노의 『사건』과 자기 서사를 통한 ‘서술적 정체성(identité narrative)’
- 프랑스의 이민 정책과 사회 통합: 제도적 진전과 구조적 한계 분석
- Les jeux de mots dans les packagings de Monoprix: une analyse linguistique de l'humour dans la publicité
- 프랑스어 식민 영향의 음운적 잔향: Kinyarwanda와 Kiswahili의 수동형 접사 ‘w’발음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