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es jeux de mots dans les packagings de Monoprix: une analyse linguistique de l'humour dans la publicité
이용수 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스텔라 켕키스(QUINQUIS Stella)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5집, 91~12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 우리는 프랑스의 주요 소매체인인 Monoprix의 제품 포장재에 사용된 언어유희(JDM)의 언어적 기법을 분석하여 유머 중심의 광고 전략을 살펴보았다. 언어유희는 응결표현 해체(다의성 포함)가 주를 이루며, 동음이의, 유사음, 독립적 다의성, 그리고 드물게 합성어와 유희적 신조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법들은 소비자들의 문화적 이해와 결합해 공감과 놀라움을 유발하여, 광고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
Monoprix는 포장재에 실린 광고문구들을 매력적인 담화의 소재로 전환하여, 독창적이고 친근한 브랜드 정체성을 구축하며, 이는 소비자 기억과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며 광고 효과를 증폭시킨다. 또한 언어유희는 광고문에서 짧지만 강렬한 메시지로 작용하며, 유머를 통해 상업적 의도를 간접적으로 은연중에 전달한다. 응결표현 해체는 문화적 지식의 공유에 기반한 동질감을 강화하며, 동음이의와 유사음은 음운적 유사성을 활용해 즉각적인 웃음을 유도한다. 다의성은 맥락적 단서를 통해 이중적 해석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러스한 광고에 사용된 언어학적 기법들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확장된 슬로건 분석을 통해 유머러스한 언어들의 역동성을 심화할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는 광고 언어의 창의적 전략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이해에 기여한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propose une analyse linguistique des jeux de mots (JDM) présents sur les packagings de Monoprix, explorant leur rôle dans une stratégie humoristique et complice de communication. Dans un premier temps, nous examinons leurs fonctions dans le discours promotionnel ; ensuite, nous analysons comment ces procédés contribuent aux stratégies de séduction mises en œuvre par Monoprix. Parmi les mécanismes linguistiques recensés, le défigement, souvent polysémique, prédomine. Il est suivi par des JMD fondés sur l’homophonie, la paronymie, la polysémie autonome, et, plus rarement, les néologismes ludiques. L'ensemble de ces procédés, mobilisant un décodage actif de la part du consommateur et mis en valeur par le design visuel des packagings, participe à renforcer la connivence avec le public cible. Ainsi, ils contribuent à consolider une identité de marque originale et reconnaissable.
목차
1. Introduction
2. Cadre théorique et contextuel
3. Les procédés linguistiques du jeu de mots dans le packaging humoristique de la marque : analyse du corpus
4. Conclusion
Réfé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 불안정 요인연구: M23과 민족 정체성의 관계
-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샤를 9세의 통치 연대기』에 나타난 대화주의
- AI 시대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에서챗GPT 프롬프트 설계 및 수업 적용 방안 연구
- 프랑스 아동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코미디 뵈르 영화의 문화적 정체성과 희극적 장치
- 화가 미쇼와 이응노 사이 교류된 ‘미술 밖 공간’에 관한 고찰: 폴 파케티 - 자오 우기 - 추상예술
- 아니 에르노의 『사건』과 자기 서사를 통한 ‘서술적 정체성(identité narrative)’
- 프랑스의 이민 정책과 사회 통합: 제도적 진전과 구조적 한계 분석
- Les jeux de mots dans les packagings de Monoprix: une analyse linguistique de l'humour dans la publicité
- 프랑스어 식민 영향의 음운적 잔향: Kinyarwanda와 Kiswahili의 수동형 접사 ‘w’발음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몽골학 제82호 목차
- 몽골 현행 몽골어능력시험 2종(ToPMON, TOMFL)의 개발 배경 및 운영 현황과 발전방안
- 현대 몽골의 언어 정책 연구 - 전통 몽골문자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