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narrative par le récit de soi dans L’Événement d'Annie Ernaux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김태희(Tae-Hee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5집, 153~1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아니 에르노의 자전적 소설 『사건』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폴 리쾨르의 서술적 정체성(identité narrative) 이론을 핵심적인 분석 틀로 적용함으로써 자기 서사(récit de soi)를 통한 주체 재구성의 복합적인 양상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에르노는 1960년대 프랑스 사회에서 금기시되었던 불법 낙태라는 외상적 경험을 언어화하는 과정에서, 과거 사건의 단순한 재현(mimesis)을 넘어서 글쓰기 행위 자체를 통해 분열된 자아를 성찰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해나가는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고는 리쾨르가 정교하게 제시한 동일성(mêmeté)과 자기성(ipséité)의 변증법적 관계를 이론적 준거로 삼아, 시간의 흐름 속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자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문제를 탐색한다. 에르노는 기억의 본질적인 주관성과 불확실성이라는 인식론적 난제에 직면하여, 감정적 개입을 극도로 절제하는 ‘밋밋한 글쓰기(écriture plate)’, 개인적 체험의 시간과 객관적 역사의 시간을 교차시키는 독특한 서사 시제로서의 ‘제3의 시간(tiers-temps)’ 구성, 그리고 일기, 캘린더와 같은 객관적 ‘기록’의 활용 및 시각적 재현 기법인 ‘에크프라시스(ekphrasis)’의 원용 등 독자적인 서사 전략을 치밀하게 구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에르노의 방법론적 천착이 어떻게 개인적 트라우마의 의미화와 서술적 정체성의 재정립을 가능하게 하는지 밝히고, 나아가 그녀의 글쓰기가 ‘여성의 진실’이라는 집단적 발화의 차원으로 확장되며 강력한 사회 비판적 함의를 획득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영문 초록
La présente étude se propose d'analyser L’Événement d'Annie Ernaux sous l'angle de la théorie de l’identité narrative de Paul Ricœur, afin d’élucider les modalités de la reconstruction du sujet par le biais du récit de soi. En mettant en mots l’expérience traumatique de l'avortement clandestin, Ernaux transcende la simple mimesis autobiographique pour engager, par l'acte scriptural même, une réflexion et une transformation identitaires. La dialectique ricœurienne entre la mêmeté (identité-idem, permanence anhistorique) et l’ipséité (identité-ipse, maintien de soi dans et par la narration) constitue un cadre théorique pertinent pour appréhender la tension entre permanence et changement qui caractérise le sujet narré et narrant chez Ernaux. Face à la faillibilité mémorielle et à la subjectivité inhérente au souvenir, l'auteure déploie des stratégies narratives spécifiques : l’« écriture plate », qui vise une objectivité par la neutralisation de l'affect ; la configuration d'un « tiers-temps » médiatisant temporalité subjective et référentialité historique ; ainsi que le recours aux archives personnelles (agendas, calendriers) et à l'ekphrasis comme autant de tentatives pour ancrer le récit dans une forme de vérité expérientielle et factuelle. Cette élaboration méthodologique ne permet pas seulement la resignification de l’expérience vécue et la redéfinition identitaire, mais confère également à l’écriture une portée éthique et sociale en tant qu’énonciation d'une « vérité des femmes » et mise en question des normes sociales.
목차
1. 서론 : 언어, 서사, 그리고 자아의 구성
2. ‘서술적 정체성’과 아니 에르노의 글쓰기
3. 서술적 정체성과 주체의 재구성 : 동일성과 자기성의 변증법
4. 서사 기법과 기억의 재현 : 객관성, 시간성, 그리고 시각성
5. 결론 : 서술적 정체성의 구축과 사회적 의미의 확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 불안정 요인연구: M23과 민족 정체성의 관계
-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샤를 9세의 통치 연대기』에 나타난 대화주의
- AI 시대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에서챗GPT 프롬프트 설계 및 수업 적용 방안 연구
- 프랑스 아동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코미디 뵈르 영화의 문화적 정체성과 희극적 장치
- 화가 미쇼와 이응노 사이 교류된 ‘미술 밖 공간’에 관한 고찰: 폴 파케티 - 자오 우기 - 추상예술
- 아니 에르노의 『사건』과 자기 서사를 통한 ‘서술적 정체성(identité narrative)’
- 프랑스의 이민 정책과 사회 통합: 제도적 진전과 구조적 한계 분석
- Les jeux de mots dans les packagings de Monoprix: une analyse linguistique de l'humour dans la publicité
- 프랑스어 식민 영향의 음운적 잔향: Kinyarwanda와 Kiswahili의 수동형 접사 ‘w’발음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