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 politique migratoire française et l’intégration sociale: analyse des progrès institutionnels et des limites structurelles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현주(Hyeon-Zoo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5집,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 이민 정책의 역사적 진화와 그에 따른 사회 통합의 효과를 공공 여론, 제도적 통합, 사회경제적 배제 관점에서 분석한다. 프랑스 이민 정책은 공화주의 원칙에 따라 법적 평등을 추구해 왔으나, 실제로는 문화적 동화와 동일성을 강요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공공 여론은 경제 불안, 정치 경쟁, 언론 담론에 따라 변동하며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제도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약화시켰다. 2005년 교외 폭동과 노동시장 차별은 사회 통합의 한계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본 연구는 프랑스가 법적 통합에서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사회경제적 통합과 문화적 수용성에서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음을 밝힌다. 또한, 2020년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한 노동시장과 최근 제정된 2024년 ‘이민 통합 법안’을 분석하여 프랑스 이민 정책의 규제 강화 추세를 조명한다. 나아가 복수정체성 인정과 지역 기반 통합 프로그램 강화가 지속 가능한 사회 통합 모델로의 전환을 위한 핵심 과제임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Cette étude analyse l’évolution historique de la politique migratoire française et ses effets sur l’intégration sociale à travers une approche multidimensionnelle : opinion publique, intégration institutionnelle et exclusion socio-économique. Fondée sur les principes républicains, la politique vise l’égalité juridique, mais favorise dans les faits l'assimilation culturelle et l’uniformité sociale. L'opinion publique, influencée par l’instabilité économique et les discours politiques, a fragilisé la cohérence et la continuité des politiques.
L’étude démontre que, malgré des progrès juridiques, des limites structurelles persistent en matière d’intégration socio-économique et d'acceptation culturelle. En analysant les effets de la pandémie de COVID-19 sur le marché du travail et la loi immigration 2024, elle souligne l’évolution vers un durcissement des politiques. Elle propose de reconnaître les identités plurielles et de renforcer les programmes d'inclusion locale pour assurer un modèle d’intégration durable.
목차
1. 서론
2. 이민 정책과 공공 여론의 상호작용
3. 프랑스의 이민 정책 변화와 요인
4. 공공 여론과 정책 결정 간의 관계
5. 프랑스 이민 정책의 사회 통합 효과와 한계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 불안정 요인연구: M23과 민족 정체성의 관계
-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샤를 9세의 통치 연대기』에 나타난 대화주의
- AI 시대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에서챗GPT 프롬프트 설계 및 수업 적용 방안 연구
- 프랑스 아동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코미디 뵈르 영화의 문화적 정체성과 희극적 장치
- 화가 미쇼와 이응노 사이 교류된 ‘미술 밖 공간’에 관한 고찰: 폴 파케티 - 자오 우기 - 추상예술
- 아니 에르노의 『사건』과 자기 서사를 통한 ‘서술적 정체성(identité narrative)’
- 프랑스의 이민 정책과 사회 통합: 제도적 진전과 구조적 한계 분석
- Les jeux de mots dans les packagings de Monoprix: une analyse linguistique de l'humour dans la publicité
- 프랑스어 식민 영향의 음운적 잔향: Kinyarwanda와 Kiswahili의 수동형 접사 ‘w’발음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몽골학 제82호 목차
- 한ㆍ몽 언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 복합 과거시제의 한국어 대응표현 연구 - ‘과거 기준시의 과거(과거의 과거)’를 중심으로
- 몽골 현행 몽골어능력시험 2종(ToPMON, TOMFL)의 개발 배경 및 운영 현황과 발전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