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herche sur les facteurs d’instabilité dans l'Est de la RDC : La relation entre le M23 et l’identité ethnique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김광수(Kwang-Su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5집, 29~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의 지속적인 불안정과 분쟁의 중심에 있는 무장조직 M23의 군사활동과 그 배경에 있는 민족 정체성의 관계를 아프리카중심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한다. 2025년 M23은 북키부와 남키부의 주요 도시를 점령하며 콩고민주공화국의 영토 주권과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M23은 콩고민주공화국 내 투치족의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이는 르완다의 역사적 서사와 영토적 야망, 그리고 대(大)르완다 담론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 본고는 식민지 시기 도입된 민족통치성(ethnogovernmentality)과 민족영토 담론이 현재 M23의 군사적 행동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는 M23의 키부 점령이 단순한 군사행동이 아니라 르완다의 정치·경제·안보 전략과 결합된 민족 정체성 서사의 확장임을 밝히며, 동부지역의 평화를 위해서는 민족 정체성의 정치화를 넘어서는 거버넌스 강화와 시민권 부여, 포괄적 국가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Cette étude analyse, dans une perspective afrocentrique, la relation entre l’instabilité persistante dans l'est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RDC) et les activités militaires du groupe armé M23, en mettant l'accent sur les dynamiques d’identité ethnique. En 2025, le M23 a occupé les principales villes du Nord-Kivu et du Sud-Kivu, menaçant gravement la souveraineté territoriale et la sécurité nationale de la RDC. Le M23 justifie ses actions militaires par la nécessité de protéger les Tutsis congolais, une revendication qui s'inscrit dans un discours historique plus large lié aux ambitions territoriales du Rwanda, notamment à travers l’idée du “Grand Rwanda”. Cette recherche s'appuie sur le concept de gouvernementalité de Michel Foucault pour analyser comment les notions de territoire ethnique et de gouvernementalité ethnique, héritées de la colonisation, contribuent aux conflits actuels. En examinant les enjeux géopolitiques du Rwanda et de l’Ouganda, l'exploitation des ressources naturelles et les logiques de guerre par procuration, l’étude montre que l’identité ethnique est utilisée comme outil de légitimation politique et stratégique. En conclusion, la stabilité à long terme de la région exige une gouvernance renforcée, l'inclusion citoyenne des populations tutsies et la construction d'une identité nationale inclusive dépassant les clivages ethniques.
목차
1. 서론
2.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의 민족영토와 민족 정체성
3. M23의 민족 정체성과 르완다의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지역 불안정 요인연구: M23과 민족 정체성의 관계
-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샤를 9세의 통치 연대기』에 나타난 대화주의
- AI 시대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에서챗GPT 프롬프트 설계 및 수업 적용 방안 연구
- 프랑스 아동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코미디 뵈르 영화의 문화적 정체성과 희극적 장치
- 화가 미쇼와 이응노 사이 교류된 ‘미술 밖 공간’에 관한 고찰: 폴 파케티 - 자오 우기 - 추상예술
- 아니 에르노의 『사건』과 자기 서사를 통한 ‘서술적 정체성(identité narrative)’
- 프랑스의 이민 정책과 사회 통합: 제도적 진전과 구조적 한계 분석
- Les jeux de mots dans les packagings de Monoprix: une analyse linguistique de l'humour dans la publicité
- 프랑스어 식민 영향의 음운적 잔향: Kinyarwanda와 Kiswahili의 수동형 접사 ‘w’발음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몽골학 제82호 목차
- 한ㆍ몽 언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 복합 과거시제의 한국어 대응표현 연구 - ‘과거 기준시의 과거(과거의 과거)’를 중심으로
- 몽골 현행 몽골어능력시험 2종(ToPMON, TOMFL)의 개발 배경 및 운영 현황과 발전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