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an Augmented Paper-Based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from an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 Focusing on the Exploration of the Volume of a Spher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왕효원(Hyowon Wang) 유연주(Yun Joo Yoo)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2호, 301~3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증강된 종이 기반 수학 학습 환경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이를 구의 부피 개념 탐구 수업에 적용하였다. 증강현실 수학 학습지는 종이 학습지를 배경으로 디지털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는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도구이며, 본 연구는 증강된 종이 기반 수학 학습 환경이 수학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7가지 개념적 요소를 도출하고 초기 설계 원리를 구성한 후, 전문가 타당화와 사용성 평가를 통해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후 수업에 적용하고 회고 분석을 통해 외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7가지 설계 원리(수학적 개념 기반의 원리, 자율성의 원리, 연결의 원리, 행동 유도의 원리, 지각 구조 형성의 원리, 다중양식을 활용한 반성 및 형식화 원리, 증강현실 도구의 내재화 원리)를 도출하였다.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은 증강현실 도구와 종이 학습지를 연계하여 개념을 신체적으로 탐색하고, 시각적·언어적 표현을 통해 수학적 의미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증강된 종이 기반 수학 학습 환경에서 증강현실 도구가 단순한 시각적 보조 수단을 넘어 체화된 학습을 지원하는 핵심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교육 현장에서의 실질적 적용 가능성과 학문적 의의를 함께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design principles for an augmented paper-based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APMLE) from an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 and applied them to a lesson on exploring the volume of a sphere. The AR mathematics worksheet (ARMW), which overlays digital content onto static, physical paper-based worksheets, supports intuitive and immersive learning by integrating the advantages of paper media with handheld AR-based digital tool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uch environments affect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ven conceptu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to form initial design principles. These principles were refined through expert validation and usability testing to ensure internal validity. The revised principles were then implemented in a classroom lesson and evaluated through retrospective analysis to examine their external validity. As a result, seven final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1) the Principle of Mathematical Concept Orientation, (2) the Principle of Autonomy, (3) the Principle of Connection, (4) the Principle of Action Affordance, (5) the Principle of Perceptual Structure Formation, (6) the Principle of Reflection through Multiple Modalities and Formalization, and (7) the Principle of AR Tool Incorporation.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students engaged in embodied exploration by interacting with both the AR tool and the paper worksheet, using visual and verbal representations to construct mathematical mean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PMLE can serve not only as a visual aid but also as a central medium for supporting embodied learning and conceptu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This study present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R-based tools in educational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유리수의 순환소수 표현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의 증강된 종이 기반 수학 학습 환경 설계 원리 개발 연구: 구의 부피 개념 탐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