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이용수  0

영문명
A Review of the Measurement Functions of Answer Choices in CSAT Mathematics Multiple-Choice Items and a Proposal for Expanding Short-Answer Items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이기돈(Gi Don Lee)
간행물 정보
『학교수학』제27권 제2호, 393~4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능 수학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선다형 문항의 선지가 수행하는 기능을 측정평가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단답형 문항 출제의 확대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다형 문항은 사회적으로 제기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측정평가적으로는 발문과 선지를 주의 깊게 개발하여 구성할 경우 피험자의 능력을 타당하게 측정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능 수학 문항은 대부분 선지가 없어도 문항이 성립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문항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선지가 수행하는 기능을 측정평가적 관점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문항 추측도, 난이도, 타당도와 같은 측정평가 개념을 바탕으로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기능을 다른 영역의 문항과 비교하여 검토함으로써 그 구조적인 측정평가적 한계를 논의한다. 또한, 기술적으로 필기 인식 및 자동 채점이 가능한 평가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점을 살펴보고, 수능 수학 영역에서 단답형 문항이 채점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타당한 평가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음을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최고난도 문항을 교육과정 내에서 안정적으로 출제하고 서술형 평가의 도입을 준비하는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수능 수학 영역에서 대학 수학 능력을 보다 공정하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단답형 문항의 출제를 확대하는 정책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unction of answer choices in multiple-choice items used in the mathematics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rom a psychometric perspective, and to propose the expansion of short-answer items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eir limitations. Despite criticisms of multiple-choice formats in public discourse, such items can serve as valid and effective assessment tools when well-constructed with appropriate stems and distractors. However, in the case of CSAT mathematics, most items remain valid even without the presence of answer choices, which calls for a reevaluation of the structural role of answer choices in terms of psychometric function. Drawing on concepts such as item guessing, item difficulty, and validity, this study compares the function of answer choices in CSAT mathematics items with those in other domains, thereby identifying their structural psychometric limit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development of assessment environments that enabl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automated scoring, and discusses how short-answer items in the CSAT mathematics can function as more valid assessment tools while maintaining efficiency and objectivity in scoring.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proposes a policy to expand the use of short-answer items in the CSAT mathematics, with the aim of more fairly and validly assessing students' abilities required for university-level study. This policy is intended to ensure the stable inclusion of high-difficulty items within the curriculum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future introduction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수능 수학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Ⅳ. 대안으로서의 단답형 문항 출제 확대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돈(Gi Don Lee). (2025).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학교수학, 27 (2), 393-412

MLA

이기돈(Gi Don Lee).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학교수학, 27.2(2025): 393-4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