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Solution-Based, and Contextual Analysis of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구나영(Nayoung Ku)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7권 제2호, 337~3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따른 <확률과 통계> 6종 교과서의 조건부확률 문제를 구조적, 해법적, 맥락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및 교수·학습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6종 교과서의 조건부확률 및 곱셈정리 단원에 제시된 모든 문제이며,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 측면에서는 비삼항 문제가 삼항 문제보다 다소 많았으며 삼항 문제 중에서는 L0, L2-패밀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L1-패밀리 문제는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다. 해법적 측면에서는 고전적 정의 사용, 일반적 정의 사용이 효율적인 문제가 다소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맥락적 측면에서는 무작위 실험, 통계 조사, 진단 검사, 수학 맥락 순으로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L1-패밀리 및 T2, T3유형의 문제의 확대, 해법적 측면에서 다양한 해결 방법을 명시적으로 비교하는 활동의 필요성, 맥락적 측면에서 실생활 맥락, 특히, 진단 검사에서의 역확률 상황의 확대와 질적 개선을 제안하였으며,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과서 문제의 가능성과 제한점을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는 다양한 전략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in six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aligned with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rom structural, solution-based, and contextual perspectives. All problems in the conditional probability and multiplicative rules chapters were collected, and an analytic framework was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 Structurally, non-ternary problems slightly outnumbered ternary problems, with the latter dominated by L0 and L2-families and very few L1-family items. Solution-wise, many problems were most efficiently tackled using either the classical or the general definition of conditional probability. Contextually, problem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of frequency: random experiments, statistical surveys, diagnostic testing, and purely mathematical scenarios.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expanding L1-family and T2, T3 problems, incorporating activities that explicitly compare multiple solution methods, and broadening real-world contexts-especially inverse-probability settings in diagnostic testing-to enhance textbook diversity and inform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 유리수의 순환소수 표현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 도형의 닮음 이슈와 과제 변형의 관계 분석: 중등 예비교사의 제1형 딜레마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의 증강된 종이 기반 수학 학습 환경 설계 원리 개발 연구: 구의 부피 개념 탐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