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홀로코스트 영화의 재현 윤리와 대안 서사로서의 희극성 :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thics of Reproduction of Holocaust Films and Comedy as an Alternative Narrative: Focusing on
발행기관
숙명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김세나(SeNa Kim)
간행물 정보
『횡단인문학』제20호, 179~19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우슈비츠의 사건은 오랜 시간 동안 서사 텍스트와 영화 매체를 통해 기록되었다. <존오브 인터레스트>는 비극적 사건을 재현하는 윤리적 태도와 미학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고 새로운 연출 방식을 통해 그 대답을 이끌어내고 있다. 곧 감독은 재현 형식의 차원이그 내용을 직접 표출하는 방법임을 알고 이를 의도적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 글은 영화가 비극을 다루기 위한 기법으로써 희극적 요소를 내재화하여 파생시키는 다양한 효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역사적 실존 인물인 루돌프 회스의 일정 시기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기에 가능한 접근이다. 영화는 나치 전범 가운데 마지막 사형수이기도 한 그가 아우슈비츠소장을 지내며 감행한 절멸 작업과 개인의 내밀한 사적 영역이 공존하는 지점에 주목하고있다. 개인의 주관적이고 특수한 요소들은 국가 체제의 보편성과 결합되어 도덕적 자아를강화하도록 만든다. 이는 인물의 희극성으로 재현되면서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강화하는효과로 이어진다. 작품은 홀로코스트의 실제 장면을 시각화하는 외설성을 피하고자 사운드스케이프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출처의 근원을 확정 짓기 어려운 소음은 현전하는 이미지와 어긋나는 대위법을 통해 묘사된다. 이때 관객은 청각적 공포를 경험하며 홀로코스트의 실재성과마주한다. 아이의 울음소리나 나치 군인들의 고함이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이질적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청각과 시각의 대위법적 구도가 깨진 이미지는 공포의 효과를 자아내 홀로코스트의 비극을 극대화시킨다. 나아가 영화는 홀로코스트의 사건이 종결된 역사가 아니라 현재까지 시의성을 지닌 복합체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타당성을 강화하고 있다. 선조적 시간 흐름을 의도적으로 뒤흔드는 연출 기법으로 루돌프 회스의 선택이 초래한 파국을 현행화 하는 효과를 가시화한다. 이는 홀로코스트의 사건이 다큐멘터리적 재현 차원에 머물지 않기 위한 윤리적 선택이라 할 수 있으며 인물의 희극적 요소들을 강화하면서 아우슈비츠의 비극성을 한층 고양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events of Auschwitz have been recorded through narrative texts and film media over an extended period. Among these works, the recent film [The Zone of Interest] has garnered attention for its novel directorial approach, which raises and answers its own questions about the ethical stance and aesthetics of representing tragic events. This paper aims to closely examine the film's comedic elements as a method employed to address tragedy. This approach is deemed possible, particularly because the film deals with a specific period in the life of the historical figure Rudolf Höss. Additionally, it aims to reveal the aesthetics of representing tragic events indirectly through the comedic elements of the character. The film avoids the obscenity of visualizing actual scenes of the Holocaust and adopts a soundscape technique as a mechanism to maintain an ethical stance. The indistinct noise, difficult to pinpoint, is portrayed in counterpoint to the existing images, thereby confronting the audience with the reality of the Holocaust through auditory terror. The film emphasizes the validity of portraying the Holocaust not as a concluded historical event but as a complex entity with ongoing relevance. The intentional disruption of a linear flow of time evokes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the catastrophic outcomes brought about by Rudolf Höss’s choices. By amplifying the comedic elements of the characters, the film enhances the tragic dimensions of Auschwitz without remaining confined to documentary-like represent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개인의 특수성과 나치즘이라는 보편성의 합치
3. 청각적 음향 효과와 실재의 침투
4. 선조적 시간을 뒤흔드는 이미지의 중첩 효과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나(SeNa Kim). (2025).홀로코스트 영화의 재현 윤리와 대안 서사로서의 희극성 :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중심으로. 횡단인문학, (), 179-197

MLA

김세나(SeNa Kim). "홀로코스트 영화의 재현 윤리와 대안 서사로서의 희극성 :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중심으로." 횡단인문학, (2025): 179-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