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매와 공존하는 돌봄의 이야기 : 현대 일본의 비문학 서사를 통해서 본 치매 담론
이용수 0
- 영문명
- Narratives of Coexistence and Care in Dementia Contexts : Dementia Discourses in Non-literary Narratives in Contemporary Japan
- 발행기관
- 숙명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유수정(Sujeong Yu)
- 간행물 정보
- 『횡단인문학』제20호, 89~1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일본의 초고령사회 진입과 맞물려 변화해온 치매 담론과 서사 양상의 전개과정을 고찰한다. 특히 다큐멘터리 영화 《치매니까 잘 부탁합니다》를 중심으로, 비문학장르에서 치매가 어떻게 재현되고 수용되는지를 분석한다. 아가와 사와코의 보는 힘 , 가노코 히로후미의 정신은 좀 없습니다만, 품위까지 잃은 건 아니랍니다 와 함께 고찰된이 작품들은, 치매를 단순한 병리적 상태가 아닌 일상적 관계 속에서 공존 가능한 삶의 조건으로 재구성하며, 돌봄이 수반하는 감정과 상호작용의 경험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일본의 치매 정책 변화와 병행하여 서사의 변화가 어떻게 사회적 인식 전환에 기여해왔는지를 밝히고, 나아가 유사한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volving discourse and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dementia in the context of Japan’s transition into a super-aged society. Focusing on the documentary film Bokemasu kara, Yoroshiku onegaishimasu (I Go Gaga, My Dear ), the study explores how dementia is portrayed and received in nonfiction genres. Alongside this film, the analysis incorporates Agawa Sawako’s The Power of Caring and Kanoko Hirofumi’s The Magazine Yoreyore and the People of Takuroujo Yoriai , highlighting how these texts reframe dementia not merely as a pathological condition but as a lived experience embedded in familial and social relationships. These narratives shift away from earlier depictions of dementia as a tragic and isolating decline, and instead foreground the ethics of care, emotional complexity, and the possibility of coexisting with dementia within everyday life. By contextualizing these narrative shifts within broader policy developments—such as Japan’s Orange Plan and the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System—the paper argues that literary and cinematic discourses have actively contributed to reshaping public perceptions of dementia.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draw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a country undergoing a similarly rapid demographic transition, by reflecting on how storytelling can inform policy and cultural responses to aging and cognitive decline.
목차
1. 들어가며: ‘죽어야 끝나는 전쟁’,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
2. 치매 돌봐야 하는 사회
3. 치매 서사가 달라지고 있다
4. 지금 시대 치매를 말하는 방식
5. 맺으며: 치매와 공존하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치매와 공존하는 돌봄의 이야기 : 현대 일본의 비문학 서사를 통해서 본 치매 담론
- 문학적 공감 : 은유-세계와 그 구조적 닮음 해석하기 : 한하운 시 읽기를 예시하며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 홀로코스트 영화의 재현 윤리와 대안 서사로서의 희극성 : <존 오브 인터레스트>를 중심으로
- 천선란 단편 SF에서의 비가족 관계 실험 연구
- 한국어 ‘보이다’ 구문의 구문문법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