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도의 부상: ‘포스트 차이나’ 시대 전략 파트너로서의 인도

이용수  0

영문명
Global Supply Chain Restructuring and India’s Rise: India as a Strategic Partner in the ‘Post-China’ Era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저자명
오화석
간행물 정보
『미래성장연구』제11권 1호, 121~13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팬데믹과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들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으로 중국 외 지역에 생산기지를 분산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 최대 인구(약 14.6억)와 풍부한 청년층을 기반으로 ‘포스트 차이나’의 핵심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메이크 인 인디아’ 및 PLI (생산연계 인센티브) 정책은 전자·스마트폰·반도체 등 14개 산업에 걸쳐 현금지원을 통해 제조업 유인을 강화하고 있다. 애플, 삼성, 샤오미 등 다수 글로벌 기업이 이미 인도에 생산·조립 시설을 확장하고 있으며, 애플은 아이폰 생산 비중을 최대 25%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는 중국 대비 낮은 인건비와 유연한 고용환경, 민주주의 기반의 정치·법적 안정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물류·인프라와 행정 절차의 복잡성, 주별 제도 차이 같은 구조적 한계도 존재한다. 한국 기업은 인센티브 활용, 현지 파트너십, 법률·세무 대응 등 사전전략 수립이 중요하며, 지역·산업 특화 전략도 병행해야 한다. 정부 차원의 고위급 채널과 실무포럼을 포함한 공급망 협력체 구축과 민간 수준의 인재·기술 협력도 필요하다. 인도는 중국의 단순 대체처가 아니라, ASEAN·중동·아프리카와 연결되는 글로벌 허브로 전략적 역할을 할 잠재력이 있다.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속에서 인도는 구조적 강점과 정책 의지를 바탕으로 장기적 전략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어, 한국이 지금 “인도+1” 전략을 본격화해야 할 시점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도의 부상
Ⅱ. 본론
Ⅲ. 결론: 글로벌 공급망 변화 속 인도의 전략적 가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화석. (2025).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도의 부상: ‘포스트 차이나’ 시대 전략 파트너로서의 인도. 미래성장연구, 11 (1), 121-136

MLA

오화석.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도의 부상: ‘포스트 차이나’ 시대 전략 파트너로서의 인도." 미래성장연구, 11.1(2025): 12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