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별 임금 격차 변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Gender Earnings Gap by Decomposition Method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 저자명
- 조동훈(Donghoon Cho)
- 간행물 정보
- 『미래성장연구』제11권 1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국내 성별 임금 격차 변동과 그 변화 원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2012년도와 2022년도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 추정한 시간당 임금 기준으로 성별 임금격차가 9.7% 로그 포인트 감소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여성의 비정규직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여성의 학력 수준 증가는 성별 임금 격차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여성이 고임금 산업과 직종에 과거보다 더 많이 분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관측되는 특성들 차이가 기여한 부분은 약 12.4% 그리고 노동시장에서 보상받는 정도를 측정한 임금방정식의 추정계수값들 변화가 성별 임금 격차 감소에 대략 43.6% 정도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근속연수가 임금에 미치는 한계효과의 감소는 여성의 상대적 임금상승을 초래하였다. 임금에 영향을 주는 관측되지 않는 개인의 특성들과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보상받는 잔차항 변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4%를 차지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trends and reasons of declining in the gender earning gap found during the past a decade. Using the data of Korea Labor Income and Panel Study (KLIPS), we consider the three components for reducing the wage gap trends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The observe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take up about 10%. The change of labor market compensation is shown to be contributing 45% and the remaining 45% of decline in the wage gap is coming from the change of residual terms from the estimated wage equation. The last part has three stories such as the change in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the price of unobserved characteristics and the labor market discrimination.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고찰
Ⅲ. 계량분석방법: BK Decomposition
Ⅳ. 자료분석
Ⅴ. 실증분석 결과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