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자율선택제 맥락에서의 1학년 세미나 국제 비교 분석

이용수  100

영문명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First-Year Seminar Courses under the Undeclared Major System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길용(Gil-yong Lee) 홍후조(Hoo Jo Hong)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219~24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라는 제도적 맥락에서 국내 대학의 1학년 세미나 교과목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유사한 제도를 운영 중인 해외 대학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Bereday의 비교교육 분석 틀과 Yin의 다중사례–내포된 설계에 기반한 질적 사례연구로, 북미와 아시아 등 4개 국가 내 5개 해외 대학의 1학년 세미나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개설 목적,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식, 제도 연계, 학문 간 융합성의 다섯 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개설 목적은 진로 설계형 교과가 다수를 차지하며, 학생의 전공 탐색과 자기 주도적 진로 계획 수립을 주로 설정하고 있다. 교수학습은 토론, 그룹 활동,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학생 참여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평가는 과제 중심 평가가 일반적이었다. 대부분의 대학이 세미나 교과를 전공 선택 과정과 구조적으로 연계하고 있으며, 전공 간 연계 혹은 학문 간 융합 구성을 통해 다양한 학문을 넘나드는 진로·학문 탐색을 유도하고 있다. [결론] 국내 1학년 세미나가 전공 전 핵심 교육과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조적 전환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세미나의 목적을 진로 설계 중심으로 재정립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참여 중심·체험 중심 방식으로 전환하며, 전공 선택 및 융합 교육과의 제도적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구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first-year seminar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under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undeclared major system. By comparing similar exploratory programs at overseas universities, the study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cademic and career design. [Method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Bereday’s comparative education framework and Yin’s multiple-case embedded design. First-year seminar courses from eight universities across North America, Europe, Asia, and Oceania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course objectiv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sessment practices, institutional linkage, an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Results] Most overseas universities offer first-year seminars as career design-oriented courses, focusing on students’ academic exploration and self-directed planning. These seminars us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group projects, and project-based learning, and adopt formative assessments based on assignments, reflection, and participation. The seminars are also structurally integrated with the major selection process and promote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beyond traditional academic boundaries. [Conclusion] Korean first-year seminar courses should be restructured to focus on career design, adopt active and experiential learning, and strengthen ties to major selection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대학에서의 1학년 세미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길용(Gil-yong Lee),홍후조(Hoo Jo Hong). (2025).전공자율선택제 맥락에서의 1학년 세미나 국제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35 (3), 219-249

MLA

이길용(Gil-yong Lee),홍후조(Hoo Jo Hong). "전공자율선택제 맥락에서의 1학년 세미나 국제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35.3(2025): 219-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