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캐나다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 탐색과 한국에의 시사점

이용수  42

영문명
Exploring the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of British Columbia, Canada, and Implications for Kore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동엽(DongYup Lee) 이주연(JuYeon Lee) 박소영(SoYoung Park)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73~1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외 교사 전문성 기준의 내용과 적용, 그리고 특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교사 전문성 기준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 전문성 기준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해 온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BC주의 교육 목표, 교육 현황, 교사 전문성 기준 등과 관련한 문헌을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BC주 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의 대학 관계자 대상 면담을 통해 자료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BC주 교사 전문성 기준은 법적 근거를 가짐과 함께, 교사 교육 프로그램 승인 기준, 교사 자격 인증 기준과의 연계를 통해 예비 교사 교육에 반영되고 있으며, 현직 교사에게는 전문성 개발 체계를 통해 간접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교사 징계 시 전문성 기준을 준거로 활용하는 등 책무성에 대한 근거가 되고 있었다. 전문성 기준은 법적 기반과 체계적인 운영체계, 결정 과정에서의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참여, 교사 자율성에 대한 존중, 그리고 사회 변화와 교육 트렌드를 반영한 주기적 개정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결론] 첫째,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은 다양한 교육 주체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높은 수용성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전문성 기준과 승인·인증 기준 간 연계를 통해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점은 자격 기준만을 관리하는 국내 사례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셋째, 교육 목적-과정-교사 전문성 기준 간의 연계를 통해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 대중들이 교사의 업무와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어 교사의 전문적 권위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를 기대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in Korea by analyzing the content, app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ch standards in British Columbia (BC), Canada. [Methods]Relevant literature related to BC’s educational goals,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and teacher education system was reviewed.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aculty members at institutions operat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BC. [Results]Professional standards for BC Educators are legally grounded and applied across various stages, from teacher preparation to in-service development. They are integrated with teacher education program approval and certification processes and serve as a basis for disciplinary actions, thus reinforcing teacher accountability. Key features include legal and operational clarity, stakeholder participation, respect for teacher autonomy, and periodic revisions aligned with social and educational trends.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four implications for Korea: (1)standards should be based on social consensus involving diverse stakeholders, (2)clear links between professional standards, program approval, and certification are necessary to manage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3)alignment between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standards ensures consistency and supports teacher autonomy and accountability, and (4)well-defined standards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of teachers’ roles and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authority of teaching.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캐나다 BC주의 교육체제 및 교원 정책
Ⅲ. 캐나다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
Ⅳ. 캐나다 BC주 교사 전문성 기준의 실제 적용 및 특징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엽(DongYup Lee),이주연(JuYeon Lee),박소영(SoYoung Park). (2025).캐나다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 탐색과 한국에의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35 (3), 73-100

MLA

이동엽(DongYup Lee),이주연(JuYeon Lee),박소영(SoYoung Park). "캐나다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 탐색과 한국에의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35.3(2025): 7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