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장지향형 고등교육재정 국가의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현황 분석: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이용수  54

영문명
A Study on Tuition and Student Financial Aid in Countries with Market-Oriented Higher Education Finance Structures: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남수경(Sookyong Nam) 원세림(Serim Wo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101~1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OECD 1인당 공교육비 수준이 높고 한국과 같이 정부부담 대비 민간부담이 높은 국가인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등록금 및 학자금 지원 정책 현황을 고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내외 정부승인통계 및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총 교육비, 등록금 현황 및 규모, 장학금 및 학자금대출 등의 학자금 지원 정책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록금 국가인 미국과 일본 등은 총 교육비 관점에서 등록금 및 학자금 지원 정책을 접근하고 학자금 부담 완화 정책과 대학재정 지원 정책을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학생과 기관 지원의 균형을 확보하고 고등록금으로 인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중앙·지방정부 차원에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행 등록금 정책과 학자금 지원 제도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고 개선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eeks to derive pertinent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evailing landscape of tuition fees and student financial aid mechanism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se nations are characterized by substantial per-student public expenditure within the OECD and a notable private financial burden in comparison to governmental contributions, mirroring the context of South Korea. [Methods] To this end,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istical datasets and scholarly literature were employed to scrutinize aggregate educational expenditures, the current status and magnitude of tuition fees, and modalities of student financial support, encompassing scholarships and student loan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se high-tuition nations, such as the US and Japan, adopt a holistic approach to tuition and financial aid policie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total educational costs, concurrently executing strategies to mitigate student financial exigencies and bolster university fiscal stability. Moreover, governmental endeavors to establish equilibrium between stud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evident, alongside multi-tiered (central and local) and inter-agency support initiatives aimed at alleviating the pressures associated with elevated tuition fees. [Conclusion] Ultimately, this study proffers salient policy recommendations concerning tuition fee determination and the provision of student financial assistance within the South Korean educational framewor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미국과 일본의 등록금 현황과 최근 정책 동향
Ⅳ. 미국과 일본의 학자금 지원 현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수경(Sookyong Nam),원세림(Serim Won). (2025).시장지향형 고등교육재정 국가의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현황 분석: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5 (3), 101-137

MLA

남수경(Sookyong Nam),원세림(Serim Won). "시장지향형 고등교육재정 국가의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현황 분석: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5.3(2025): 101-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