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in the U.S., France, Finland,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이경(Eegyeong Kim) 한승호(Seungho Ha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139~16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 프랑스, 핀란드, 일본의 대학입시제도를 비교·분석하여 한국 대입 제도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대학 입학자 선발 방식, 표준화 시험 활용, 중등교육과의 연계성, 사회적 약자 배려 제도의 네 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각국의 정부 문서와 기존 연구 자료를 비교교육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첫째, 미국을 제외한 프랑스, 핀란드, 일본은 중앙정부가 대입 제도를 주도하지만 네 국가 모두 대학에 실질적 선발 자율권을 부여하고 있었다. 둘째, 대입에서 표준화 시험의 영향력은 대학 학업성취와 연관성이 낮고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점차 감소되고 대체되는 추세이다. 셋째,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고 중등학교 교육의 과정과 성과가 대학입시와 연동될 수 있도록 국가가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넷째, 고등교육 접근기회 형평성 제고를 위해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제도를 직·간접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제도 운영 개선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결론] 사례 분석 및 논의를 종합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대학입학제도 개혁은 대학 자율성 확대, 표준화 시험 비중의 합리적 조정 및 공교육과의 연계 강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배려 정책 강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France, Finland, and Japan.
[Methods] This study applied comparative educational analysis to government documents and existing literature based on four criteria: university admission selection methods, the role of standardized testing, alignment with secondary education, and policies supporting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Resul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while central governments in France, Finland, and Japan actively set the admission framework, all four countries ensure substantial institutional autonomy. Additionally, reliance on standardized tests is declining due to their limited predictive validity and their role in increasing social inequality. Each nation has also enhanced the connection between secondary education and university admission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dependence. Lastly, all countries employ policies supporting disadvantaged groups to improve higher education accessibility.
[Conclusion] This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Korea’s university admission reforms should enhance institutional autonomy, decrease reliance on standardized tests, strengthen ties with secondary education, and reinforce effective support for disadvantaged groups. Future studies should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se reforms and develop tailored policy recommend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해외 주요국의 대입제도 사례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프랑스, 핀란드, 일본의 대학입시제도 비교 분석 연구
-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작은학교 교육과정 인식 비교 연구
- 한국과 몽골의 진로교육 정책 비교에 따른 몽골 중등학교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 학교 내 의약품 사용 및 관리에 관한 협력적 거버넌스 국제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캐나다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 탐색과 한국에의 시사점
- 시장지향형 고등교육재정 국가의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현황 분석: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맥락에서의 1학년 세미나 국제 비교 분석
- 한국과 미국의 영유아교사양성제도 비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 대학의 대규모 원격수업에서 글쓰기 기반 상호작용 전략의 효과성 탐색
- 초등학생 사회정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