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몽골의 진로교육 정책 비교에 따른 몽골 중등학교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78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in Mongolian Secondary School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and Mongoli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친홀러(P.Ichinkhorloo) 황영식(Youngsik Hwang)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189~21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중등학교 진로교육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한국 중등학교 진로교육의 운영 체계와 실태를 바탕으로 몽골 중등학교 교육 환경에 적합한 진로교육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한국과 몽골의 중등학교 진로교육 정책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문헌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Elo와 Kyngäs(2007)이 제안한 3단계 질적 내용분석 절차(준비–조직화–보고 단계)를 분석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진로교육법」의한 체계적인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으나, 몽골은 진로교육 관련 독립적인 법령이 부재하고 정책 체계도 미흡하다. 둘째, 한국은 교과 교육과정과 창의적 진로체험 활동을 연계하여 진로교육을 운영하나, 몽골은 일회성 특강이나 행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지속성과 체계성이 부족하다. 셋째,한국은 학교에 진로전담교사를 배치하여 진로지도를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반면, 몽골은 전담 인력이 부족하고 학교 단위의 실질적 진로지도는 어려운 실정이다. 넷째, 한국은 국가 차원의 통합 진로정보망을 구축하여 진로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반면, 몽골은 진로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운영과 정보 활용 체계가 미흡해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결론] 몽골 진로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진로교육에 관한 법적 기반과 정책 체계를 정비하고, 교육과정을 학년별 발달 수준에 맞게 체계화하여 진로교육을 교과 내 독립 영역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아울러,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를 적절히 배치하고, 지속 가능한 진로정보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reer education policies of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and Mongolia, an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applicable to the Mongolian context, based on the operational systems and practices of career education in South Korean secondary school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using the three-phase procedure (preparation–organization–reporting) proposed by Elo and Kyngäs (2007), and conducted a comparative literature analysis of the career education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South Korea has a systematic legal foundation through the Career Education Act, while Mongolia lacks independent legislation and a coherent policy structure. South Korea integrates career education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xperiential activities, whereas Mongolia relies on irregular lectures and events. Dedicated career guidance teachers are systematically deployed in South Korea, while Mongolia lacks professional personnel and infrastructure. Additionally, although both countries have developed career information systems, Mongolia's system remains underutilized in school settings due to operational limitations. [Conclusion]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in Mongoli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and policy foundation, systematiz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and position career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area. Moreover, placing career guidance teachers and providing sustainable support systems for career information will be essential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과 몽골 중등학교 진로교육 정책
Ⅲ. 연구방법
Ⅳ. 한국과 몽골의 중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친홀러(P.Ichinkhorloo),황영식(Youngsik Hwang). (2025).한국과 몽골의 진로교육 정책 비교에 따른 몽골 중등학교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비교교육연구, 35 (3), 189-218

MLA

이친홀러(P.Ichinkhorloo),황영식(Youngsik Hwang). "한국과 몽골의 진로교육 정책 비교에 따른 몽골 중등학교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비교교육연구, 35.3(2025): 189-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