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ystem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수현(Suhyun Kwon) 김명진(Myung-Jin Ki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뉴욕주의 영유아교사양성제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영유아교사양성제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리부처 및 자격증 발급기관, 법적 근거, 교사양성기관, 교사양성과정 진입, 교사양성교육과정, 자격증 취득방식 및 요건을 비교준거로 설정하고,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은 중앙정부가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자격을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반면, 미국 뉴욕주는 여러 기관이 이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한국은 명확한 법적 근거와 학점·실습 기준을 갖추고 있으나, 뉴욕주는 다양한 법령에 기반하여 다양한 자격 기준으로 유아교사와 보육교사를 양성하고 있었다. 또한 뉴욕주는 교사양성과정 진입 및 과정 전반에서 교사자격의 질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비교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한국 영유아교사양성제도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입 단계부터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영유아교사의 자질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실습 기간을 확대하여 실습학기제를 운영하고, 현장경험과 연계한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영아와 유아의 발달 및 교육적 특성을 반영한 통합적 교사양성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ystem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at of Korea and New York State, USA.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managing authorities and certification agencies, legal foundations,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dmission into teacher education programs, teacher education curricula, and certification acquisition methods and requirements were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systems of Korea and New York State.
[Results] While Korea is changing toward a system where the central government unitarily manages the qualifications for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New York State was managing them dually through multiple agencies. Korea has clear legal foundations and standards for credits and practicum, whereas New York State was training early childhood and childcare teachers based on various laws and diverse qualification standards. Also, New York State showed a difference in that it has a system to manage the quality of teacher qualifications from the entry stage and throughout the training proces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or Korea’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ystem, deriv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ies throughout the entire curriculum, starting from the entry stag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period of teaching practicum by operating a practicum semester system and to establish a curriculum linked to field experience. Third, an integrat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developmental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requir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Ⅲ. 한국과 미국의 영유아교사양성제도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프랑스, 핀란드, 일본의 대학입시제도 비교 분석 연구
-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작은학교 교육과정 인식 비교 연구
- 한국과 몽골의 진로교육 정책 비교에 따른 몽골 중등학교 진로교육 개선 방안 연구
- 학교 내 의약품 사용 및 관리에 관한 협력적 거버넌스 국제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캐나다 BC주의 교사 전문성 기준 탐색과 한국에의 시사점
- 시장지향형 고등교육재정 국가의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현황 분석: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맥락에서의 1학년 세미나 국제 비교 분석
- 한국과 미국의 영유아교사양성제도 비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 체육 실기 강좌에 대한 자율적 동기 및 자기통제가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