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 탐색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한정수(Jung-Su Han) 유기웅(Kiung Ryu)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91~2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들이 대학생활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정서적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는 구체적 과정 및 행동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근거이론(Systematic Grounded Theory, 유기웅, 2022)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대학 입학 초기전공 미결정 상태에서 정체성 혼란과 소속감 부족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대학에서 제공하는 공식적 지원 프로그램이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형식적이어서 실질적이고 개인적인 요구를 충분히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선배 및 또래와 같은 비공식적 관계망을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 정보 제공, 심리적 안정, 정서적 지지 및 소속감 형성과같은 긍정적 효과를 얻었다. 특히,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전공 탐색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자기정체성을확립해가면서 초기의 부정적 경험이 학업 몰입과 심리적 성장으로 전환되는 ‘전공 미로 탈출하기’라는핵심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을 단순한 전공 선택의문제로 축소하지 않고, 심리적·사회적 관점에서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이해를 높였으며, 대학의공식 프로그램과 비공식적 관계망의 연계 및 통합적 운영에 대한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원 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eply analyz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llenge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AMSS) during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their specific coping strategies and adaptive process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AMS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Grounded Theory approach (Ryu, 2022).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experienc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identity confusion and lack of belonging due to their initially undecided majors. Moreover, university-provided official support programs were found to be overly general and formal, failing to meet students' practical and individual needs. To overcome these issues, students actively utilized informal networks, such as senior peers and classmates, gaining practical inform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emotional support, and a sense of belonging. Notably, the core category derived was “escaping the maze of choosing a major,” describing the complex and profound process in which students gradually established their self-identity through self-directed major exploration, transforming initial negative experiences into positive outcomes such as academic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growth. This study contributes theoretically by addressing university adaptation issues comprehensively from psych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rather than simplifying them as merely a problem of choosing a major.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universities' official programs and informal networks. Future studies should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upport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 대학생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CAT 기반 진단체계 개발
- MBTI 과몰입 예방을 위한 해체주의 독서프로그램 연구
- 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uided Worksheet Intervention on Low-Achieving College English Learners : Focusing on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외국인 학부생 대상 문학 토론 수업에서 대화형 AI의 언어 모델링 기능 탐색
- Exploring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s
- 교양교육과 기초학문 - 교양교과목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을 다시 묻다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 탐색 연구
참고문헌
-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Convergenc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Journal of Culture and Convergence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 Journal of Educational Culture
-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 Ministry of Education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 Parkyoung Story
-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 Sage Publications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