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ploring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s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진(Eunj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21~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세계시민교육’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존의 교수자 역량, 커리큘럼, 학습자에 대한 영향 등 제한적 범위의 연구에서 벗어나 대학, 학습자, 사회의 다차원적 영역에 초점을 둔다. 연구방법론으로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한다. Q방법론은 특정 주제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분석하는 데 효과적으로활용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대학의 ‘세계시민교육’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분석을 목적으로 하기에, 본 논문에 적절한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인 대구, 대구·경북에 소재한 대학교에서 2024년 1학기에 시행된 ‘세계시민교육’ 수업에대한 총 36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을 구성하였으며,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40명을 최종 P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PQMethod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에 대한 개방성 중시형,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 및 교수자 역량 중시형, 학습자의 인지적 및 사회·정서적 영역 중시형의 세 가지 유형이 의미있게 나타났으며, 대학, 학습자, 사회의 다차원적 차원의모든 영역을 충족하는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형 I ‘사회에 대한 개방성 중시형’의 경우, 사회 영역에서도 서로 다른문화에 대한 존중 및 문화 다양성 이해 등 개방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II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 및 교수자역량 중시형’의 경우, 학습자 및 대학 영역에 초점을 두며, 특히 전세계적 연결성 및 글로벌 이슈의 상호 영향 등 학습자의인지적 영역과 함께 학습자중심 교수법에 대한 교수자 역량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III의 경우, 글로벌 다이내믹, 문화 간 차이 이해 및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존중 등 ‘학습자의 인지적 및 사회·정서적 영역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세계시민교육이라는 동일한 수업에 대해 학습자들이 서로 상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수업과학습자들이 기대하는 수업 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참여를 기반으로하는 실질적 활동을 포괄하는 세계시민교육 수업 설계, 교수자를 위한 교육 및 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활발한 소통등 세 가지 측면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on a global citizenship course, drawing on multidimensional viewpoints encompassing the university, the learners, and broader societal contexts. Q-methodology was employed to analyze the findings, as it is especially well-suited for uncovering individuals' subjective views on a particular topic. This makes Q-method a suitable fit for this study, as it enables the investigation of how learners perceive the global citizenship course, highlights differences among distinct student viewpoints, and provides insights into the ideal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al development.
A total of 40 students participated in sorting the 36 statements ultimately select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using PQ-Method, revealed three distinct factors: Openness to Society Oriented, Learners’ Cognitive & University Instructor’s Capabilities Oriented, and Learners’ Cognitive & Socio-emotional Oriented. Unfortunately, no single type appeared to satisfy all the three different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valuable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diverse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current global citizenship courses, particularly given the rising number of such courses offered by universities and the growing demand for this typ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offers three key implications: incorporating community-based activities into regular classes, providing appropriate training or retraining programs for educators, and fostering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Framework and Q-Methodology
4. Analysis and Discussion
5. Conclusions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 대학생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CAT 기반 진단체계 개발
- MBTI 과몰입 예방을 위한 해체주의 독서프로그램 연구
- 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uided Worksheet Intervention on Low-Achieving College English Learners : Focusing on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외국인 학부생 대상 문학 토론 수업에서 대화형 AI의 언어 모델링 기능 탐색
- Exploring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s
- 교양교육과 기초학문 - 교양교과목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을 다시 묻다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