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ffectiveness of an AI Speaking App and Its Pedagogical Applicability in University English Courses : A Case Study of a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황영아(Youngah Hwang) 신종호(Jongho Shi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3호, 53~7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기반 말하기 앱을 활용한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대학 교양 영어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 대학교에서 AI 기반 말하기 앱인‘플랭(PLANG)’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학습 결과와 만족도, 정의적효과 및 정규 수업 내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양적·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교과프로그램 평균 이수율은 55.1%, 평균 학습 지속 일수는 50.7일이었으며, 학습자 평균 레벨은 98포인트향상되어 말하기 역량 향상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학습자 만족도는 전체적으로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참여도, 학습 유용성 인식, 콘텐츠 적합성, 피드백 유용성, 재참여 및 추천 의향항목 모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확인되었다. 정의적 영역 분석에서는 학습 자기효능감과 자신감이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FGI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수준별 맞춤형 학습 제공, 실제 상황과유사한 회화 연습 가능성,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흥미와 재미를 유도하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 제공, 정규 수업의 보조적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I 기반 말하기 앱이 국내 교양 영어 수업의 구조적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유의미한 교수학습 도구로서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AI 기반 말하기 앱을 정규 영어 수업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는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extracurricular program using an AI speaking application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university English classes. The program was conducted using PLANG, an AI speaking app,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cusing on learning outcomes, learner satisfaction, affective changes, and potential classroom integration. The average completion rate was 55.1%, with an average study duration of 50.7 days. Learners’ speaking levels improved by an average of 98 points, indicating a positive impact on speaking ability. Satisfaction results showed high ratings in engagement, perceived effectiveness, content appropriateness, feedback usefulness, and willingness to reeng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nfidence. Focus group interviews revealed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personalized learning, realistic speaking practice, immediate AI feedback, and engaging content. Learners also acknowledged the app’s potential to supplement regular English classes, while suggesting the need for careful instructional desig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I speaking apps can be practical tools for addressing structural limitations in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and for enhancing individualized, affective, and skill-based learn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영아(Youngah Hwang),신종호(Jongho Shin). (2025).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 (3), 53-72

MLA

황영아(Youngah Hwang),신종호(Jongho Shin). "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3(2025): 5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