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학부생 대상 문학 토론 수업에서 대화형 AI의 언어 모델링 기능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Conversational AI as a Language Model in Korean Literature Discuss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혜(Jihye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3호, 93~1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이 문학 텍스트 기반의 한국어 말하기 활동에서 경험하는 언어·문화적장벽을 대화형 인공지능(AI)의 언어 모델링(Language Modeling) 기능으로 보완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S대학에서 2024년 1학기와 2학기에 진행한 <한국문학개론> 수업에서의 말하기 활동 일부를 분석하였다. 해당 수업에서는 김승옥 작가의 「서울, 1964년 겨울」을읽고 토론하는 활동에 대화형 AI(ChatGPT)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AI와 상호작용하며 말하기 발화를준비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AI는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어휘나 표현제안, 담화 구조 안내, 감정 표현, 배경지식 설명 등 실시간 언어 모델링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문학 텍스트 기반 말하기 활동에서는 대화형 AI가 발화의 다양성과 유창성 향상에 기여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학 교육과 AI 기술의 융합이 외국인 학습자의 말하기 교육에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language modeling to addres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encountered by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literature-based Korean speaking activities. To this e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speaking activities from the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course offered at S University in Seoul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4. In this course, students read and discussed Kim Seung-ok’s short story “Seoul, Winter 1964”, with interactive AI (ChatGPT) integrated into the speaking activities. The course was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engage with AI to prepare and organize their spoken output. The findings indicate that AI functioned effectively as a real-time language model, offering lexical and phrase suggestions, discourse structuring, emotional expression, and background knowledge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versational AI can enhance both the diversity and fluency of learners’ spoken production in literature-based speaking tasks. The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integrating AI technology with literary instruction to support speaking development among international learners of Korea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 대학생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CAT 기반 진단체계 개발
- MBTI 과몰입 예방을 위한 해체주의 독서프로그램 연구
- AI 기반 말하기 앱의 효과성 분석과 대학 교양 영어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uided Worksheet Intervention on Low-Achieving College English Learners : Focusing on Interes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외국인 학부생 대상 문학 토론 수업에서 대화형 AI의 언어 모델링 기능 탐색
- Exploring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s
- 교양교육과 기초학문 - 교양교과목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을 다시 묻다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로 입학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