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idity of Instructor, Peer, and AI Feedback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Common Issues in Students’ Argumentative Text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윤빈(Yunbin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9~3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세 피드백 주체(교수자·동료·AI)가 제공하는 피드백의 특성과타당도를 분석하여, 주체별 피드백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에 대해 각 주체가 동일한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피드백을작성하게 했다. 이후, 작성된 피드백을 대상 영역별·내용 유형별로 나누어 특성을 고찰하고, 피드백의타당도를 평정했다. 연구 결과, 교수자 피드백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글의 고유한 문제에 가장 적확하게 대응했고, 타당도도 월등히 높았다. 교수자는 글의 다양한 영역별 문제를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유일한주체였으며, 피드백을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개입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동료 피드백은정서적 지지를 통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을 증진하고 적용 가능성이 높은 실용적 조언을 제공하는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글에 명시적으로 드러난 요소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동료의 쓰기 수준에 따라피드백의 타당도가 크게 달라졌다. AI 피드백은 즉시적·반복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글의 구조나 표현, 이유나 근거의 존재 유무와 같은 표면적 요소에 대한 타당도가 높았다. 그러나 심층적인 내용 판단에취약하고, 맥락과 무관한 정보나 피상적 조언을 제공하는 양상이 자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앞으로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세 주체의 피드백을 활용할 수있는 실제적인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특히, 피드백의 목적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여 각 단계에 적합한주체가 순차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주체별 단계적 피드백 방안>, 교수자·동료·AI의 피드백을모두 제공한 뒤 학습자가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피드백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별 피드백에대한 비판적 성찰 활동>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validity of feedback provided by instructors, peers, and AI in the context of college writing instruction. Utilizing a shared evaluation rubric, each group reviewed the same set of argumentative essays. The feedback was analyzed based on its thematic focus and content type. Instructor feedback, informed by disciplinary knowledge and pedagogical intent, most effectively addressed specific issues in student writing. It was also the only type of feedback to consistently integrate observations across different parts of the text, thereby supporting students’ overall writing development. Peer feedback, while often encouraging and occasionally practical, tended to emphasize surface-level features and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reviewer’s own writing competence. AI-generated feedback offered consistent and readily available comments, particularly in assessing structure, language use, and the presence of reasoning or evidence. However, it often lacked depth in content-related analysis and frequently produced advice that was generic or insufficiently attuned to con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structured ways to combine different feedback sources. It recommends a stage-based model, where feedback is provided sequentially depending on instructional goals, and a critical reflection activity, in which students compare feedback from all sources to make informed revision decision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빈(Yunbin Lee). (2025).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 (3), 19-33

MLA

이윤빈(Yunbin Lee).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교수자·동료·AI 피드백의 특성 및 타당도 비교 - 대학생 글쓰기의 전형적 문제를 포함한 논증적 글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3(2025): 19-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