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행한 의식의 餘響: 15세기 문인들의 鄭夢周·鄭道傳 평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Jeong Mong-Ju(鄭夢周) and Jeong Do-Jeon(鄭道傳) on the Ethical Self-Reflection of 15th Century Korean Intellectual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구슬아(Seul-Ah Ko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71輯, 163~20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몽주와 정도전에 대한 15세기 지식인들의 다양한 이해와 해석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여말선초의 역사적 전환 위에 정몽주는 죽음을 통해 성리학적 이상을 성공적으로 실현한 지식인의 표상으로, 정도전은 이상과 현실의 접점을 모색하였으나 실패한 정치개혁가로 기억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그러한 선택에 앞서 주어진 역사적·정치적 책무를 감내하며 분투한 성리학적 지식인이라는 점에서 공통된 맥락을 지닌다. 이에 따라 정몽주와 정도전을 둘러싼 15세기 지식인들의 인식과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고 변용되었는지를 세밀히 고찰하였다. 먼저 동시대적 정체성을 견지한 변계량과 유방선은 정몽주의 삶과 죽음을 자신의 시대적 책무와 내면적 성찰의 거울로 삼으며, 이념적 삶의 자세에 대한 존모를 보여준다. 이승소, 김종직, 유호인, 남효온은 정몽주의 정치적 선택과 실천 양상을 역사의 변화라는 맥락 속에서 해석하며, 시대의식·공적 사명감·출처관 등의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재조명하였다. 신숙주는 정도전의 개혁에 대한 고평과 정치적 좌절을 통해, 정치 현실의 복잡성과 정치에 참여하는 지식인의 책무,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에 대해 자각하였다. 이처럼 정몽주와 정도전은 15세기 지식인들에게 성리학이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는 과정에서 고찰해야 할 지식인의 도덕적 선택, 공적·경세적 책무와 관련한 자기성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15th century Joseon intellectuals interpreted and evaluated Jeong Mong-Ju and Jeong Do-Jeon. Both figures, situated at the crossroads of Neo-Confucian ideals and political realities, embodied the struggles of scholar-officials who endured profound inner conflicts while making consequential decisions. Jeong Mong-Ju became emblematic of a scholar who realized his convictions through martyrdom, while Jeong Do-Jeon was remembered as a political reformer who sought to reconcile ideals with governance. Despite their contrasting choices, both represent the burden of intellectual responsibility amid turbulent times. This research closely examines how perceptions and evaluations of these two figures evolved among 15th century literati. Byeon Gye-Rryang and Yu Bang-Seon, who shared a contemporary sense of identity with Jeong Mong-Ju, regarded his life and death as mirrors for their own historical responsibilities and ethical self-reflection, revealing deep reverence for a principled Neo-Confucian life. Yi Seung-So, Kim Jong-Jik, Yu Ho-In, and Nam Hyo-On interpreted Jeong Mong-Ju’s political choices and action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historical change, critically reevaluating his role in term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public duty, and the ethics of political engagement and withdrawal. Shin Suk-Ju, through his positive appraisal of Jeong Do-Jeon’s reformist vision and acknowledgment of his political downfall, recognized the complexity of political realities and the intellectual's responsibility in governance, along with its implications for historical judgment. In sum, Jeong Mong-ju and Jeong Do-Jeon functioned as catalysts for self-examination among 15th century intellectuals, illuminating how Neo-Confucianism operated as a political ideology and prompting reflection on moral choice, public responsibility, and political praxis.

목차

1. 들어가며
2. 정몽주와 정도전의 불행한 의식과 지성사적 위상
3. 정몽주의 여향과 역사적 평가
4. 정도전의 여향과 역사적 평가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슬아(Seul-Ah Koo). (2025).불행한 의식의 餘響: 15세기 문인들의 鄭夢周·鄭道傳 평가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 163-203

MLA

구슬아(Seul-Ah Koo). "불행한 의식의 餘響: 15세기 문인들의 鄭夢周·鄭道傳 평가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2025): 163-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