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search on Real Estate Needs Using Big Dat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진(Ji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6호, 119~1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급변하는 사회 구조와, 기술 발전, 특히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는 부동산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가치관의, 다양화는 주거 및 상업 공간에 대한 니즈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동산 수요 분석의 방법 또한 정교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대 부동산 소비자의 니즈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시장의 수요 변화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부동산 수요 분석의 기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 분석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전통적인, 부동산 분석은 주로 실거래가, 공급량, 인구통계, 금리 등 정형화된 지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복잡한, 선호와 관심, 특히 실제 거래로 이어지지 않는 잠재 수요나 비가시적 니즈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웠다.
다만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부동산 수요를, 단순히 거래 수치로 환원하는 것이 아닌, 소비자의 니즈라는 보다, 확장된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동산 시장에서 빅데이터의 융합적 활용 가능성을 이론적·정책적으로 제시하며, 수요자 중심 시장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적,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하였다. 한국과 같이 디지털 인프라가 잘 구축된 환경에서는 이러한 접근이 정책 현장과 산업 실무, 모두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ecognizes that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accelerating technological advancements— particularly digital transformation—are bring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 real estate market.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values have had complex effects on the need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spaces. Accordingly, methods for analyzing real estate demand are becoming increasingly sophisticated.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sought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needs, of modern real estate consumers through big data and to quantitatively identify shifts in market demand.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real estate demand analysis, this study explored a new approach that utilizes big data to, enable consumer-centered insights. Conventional methods have primarily relied on, structured indicators such as actual transaction prices, supply volume, demographic statistics, and interest rates. As a, result, these approaches have struggled to sufficiently capture consumers’ multifaceted preferences and interests—particularly latent or unsurfaced demand that, does not immediately result in transactions.
Accordingly, the use of big data in, analyzing real estate demand can offer valuable insights for policy design and housing supply plann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The Integration Potential of Big Data andReal Estate Market Needs
Ⅳ. Policy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in the Korean Real Estate Market
Ⅴ. Conci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 임차인 권리보호제도가 경매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주거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al Estate Needs Using Big Data
-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세율 강화에 따른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 지분형 모기지 제도에 관한 비판적 제언
-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매매가와 전세가에 미치는 영향: 잠실동 아파트 사례분석
- 주거지원제도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현물지원과 현금지원 방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 지식산업센터 분양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 창고임대업 운영 요인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Transformation of Discourse Network in China’s Real Estate Policy - A TF-IDF and CONCOR Approach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