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헬스 인식과 가상현실 교육 요구도의 관계: 안경광학과 및 치위생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ssociation Between Digital Health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among Optometry and Dental Hygiene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홍민희(Min-Hee Hong) 최가을(Ka-Ul Choi) 김효진(Hyo-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13권 제2호, 56~63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igital health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VR)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and dental hygiene.
Methods: An online survey targeting optometry and dental hygiene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nam region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1, 2024, and March 15, 2025. Research tools included digital health, VR awareness, and educational VR simulation needs.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5.0.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R awareness and the perceived need for VR simulation within the context of digital health changes, the need for digital health education, participation in digital health education, and the effect of digital health education.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igital health awareness, VR awareness, and educational VR simulation nee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digital health, the higher the awareness of VR and the need for simulation-based education. Third, factors affecting the demand for educational VR simulation were awareness of the changes in digital health education, the necessity of digital health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health education, and VR. Of these, awareness of VR had the greatest influence.
Conclusions: VR simulation is a necessary educational tool for students in the healthcare field. In addition, it serves as a pedagogical tool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by major and designing a future-orient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in this fiel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목차
- 치위생과 학생의 그릿과 문제해결능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가구유형 및 동반식사 여부와 구강검진 수검률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22-2023)
- 한국 성인의 배우자 동거여부에 따른 치과의료기관 이용 및 미치료에 관한 조사
- Y-27632의 치과용 레진 단량체 유래 세포독성에 대한 치주줄기세포 보호 효과
- Recent Advances in Microbiome Balance Regulation for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 치위생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실천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교사의 우울과 구강건조감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OHIP-14)의 관련성
- 디지털 헬스 인식과 가상현실 교육 요구도의 관계: 안경광학과 및 치위생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 직업적 특성에 따른 치과진료 미충족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2차년도(2023) 자료 분석
- 머신러닝을 활용한 치과진료분야 및 치료비 지출 예측모형 개발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과 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전환충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미국과 유럽의 AI 기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규제제도 고찰과 국내 허가현황 분석
- Emerging Advances in Solid Tumor Immunotherapy: A Comparative Review of CAR-T, CAR-NK, CAR-M, and TIL Therap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