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f Regulatory Policies for AI-Enabled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Approval Status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송인명(Inmyung Song) 김동숙(Dong-sook Kim) 박지은(Ji-Eun Park) 김수진(Sujin Kim) 정연(Youn Jung) 박실비아(Sylvia Park) 강은정(Eunjeong Kang) 양보람(Bo Ram Yang) 최상은(Sang-Eun Choi)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9권 제3호(2025년), 201~2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but they may pose risks to patient safety by providing misleading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status of AI-enabled medical devices approved in Korea and the regulatory framework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governing the devices to draw key lesson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software as a medical device (SaMD) approved in Korea, a search for “software” was conducted on the Medical Device Safety Information website (mfds.go.kr)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employs a risk assessment approach to oversee all medical devices, including SaMD. The European Medicines Agency introduc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t to establish risk classification, transparency requirements, and human oversight provisions. As of September 1, 2024, a total of 1,513 software-based medical devices have been approved in Korea, of which only a small number are AI-enabled devices. The U.S. and the E.U. share concerns regarding transparency issues and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AI-enabled medical devices, and both regions follow a risk-based regulatory approach. As the number of AI-enabled medical devices is expected to grow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a robust risk assessment approach should be regarded as a fundamental component of the regulatory framework to ensure patient safety.
영문 초록
목차
서 론(Introduction)
방 법(Methods)
결 과(Results)
고 찰(Discussion)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COVID-19 팬데믹 전후 FDA 데이터 완전성 위반 분석: 경고서한 기반 비교 연구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Emerging Advances in Solid Tumor Immunotherapy: A Comparative Review of CAR-T, CAR-NK, CAR-M, and TIL Therapies
- 피부에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HDAC)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적 역할
- 국가별 가정정맥영양 제도의 비교 연구 - 한국,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을 중심으로
- 미국과 유럽의 AI 기반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규제제도 고찰과 국내 허가현황 분석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 고령자를 위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mRNA 백신(락스토지나메란) 접종의 공중 보건 및 경제적 영향
- 임상시험 승인일과 실제 개시일 사이의 소요기간 분석
- 코로나19 예방접종 정책과 정부의 비용 지원: 국제 비교 및 시사점
- 아동 해열제 교차복용에 대한 약사 복약지도 가이드라인 필요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