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장교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시론: 자연과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8

영문명
A Preliminary Archaeological Research to Market Exchange: Focusing on Scientific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현우(Hyunw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8호, 185~2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고학 자료의 상당수는 과거 교환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고고학은 교환 및 경제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논의가 시장교환의 구체적인 양상과 그 의미까지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장교환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자연과학적 산지분석에 주목하고, 관련 이론과 방법론을 검토한 후, 토기 산지분석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적의 성격이나 계층을 불문하고 토기가 광범위하게 유통된 사례는 시장교환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백제 한성양식 토기의 유통 사례는 시장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로 평가된다. 반면, 고구려 및 통일신라의 산성 유적 출토 토기는 광범위한 유통범위를 보이지만, 이는 주로 행정 및 군사적 소비와 관련된 특수한 유통 또는 분배 체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일반 취락에서 출토 된 토기는 상대적으로 유통 범위가 좁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자연과학적 산지분석은 단순히 생산지와 소비지를 연결하고 유통망을 복원하는 역할을 넘어, 교환의 양상과 성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연구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시장교환의 존재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고고학 연구에서 과거 사회의 경제 구조에 대한 핵심적 인 접근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는 토기라는 단일 재화의 유통 사례만을 분 석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시장교환의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토기를 포함한 다 양한 재화의 산지 분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Archaeological artifacts were often objects of exchange in the past, making archaeology a crucial field for studying trade and economic systems. Recently, discussions in this field have expanded to explo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market exchange. This study focuses on scientific provenance analysis as a method for identifying market exchange, reviewing relevant theories and methodologies, and comparing case studies of ceramic provenance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ceramics, regardless of site characteristics or social hierarchy, suggests a strong correlation with market exchange.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Baekje Hanseong-style ceramics serves as significant evidence supporting the existence of market exchange. In contrast, ceramics excavated from fortress sites of Goguryeo and Unified Silla, despite their wide distribution, appear to reflect specialized distribution or redistribution systems related to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onsumption. Furthermore, ceramics from general settlements exhibit a notably limited distribution range. Scientific provenance analysis not only helps identify production and consumption sites and reconstruct distribution networks but also serves as a valuable tool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mechanisms of exchange. Notably, its potential to examine the existence of market exchange highlights its significance as a key methodological approach for interpreting the economic structures of past societies. However, as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distribution of ceramics as a single commodity, a m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corporating provenance analyses of various types of goods is necessary to achiev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past market exchange dynamics.

목차

Ⅰ. 서론
Ⅱ. 교환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검토
Ⅲ. 자연과학적 분석으로 본 한반도 역사시대 토기의 시장교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우(Hyunwoo Kim). (2025).시장교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시론: 자연과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 185-207

MLA

김현우(Hyunwoo Kim). "시장교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시론: 자연과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2025): 185-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