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의 대북 경제협력 실태 분석 : 대북 농업투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China’s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 Focusing on Investment in North Korean Agriculture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저자명
윤승현(Seung Hyun Yoon)
간행물 정보
『한반도미래연구』제2호, 195~23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25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의 대북 농업투자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사례로, 이를 통해 최근 북한농업의 투자수요와 북한의 농업투자 유치 여건을 유추해 볼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북한농업에 투자된 사례를 세부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중국기업의 투자는 식품가공업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담배, 음료, 조미료, 식용유, 술, 면(국수)류 등으로 다양화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 당국의 농업 부문 투자 유치 목적이 식품가공산업에 부족한 자본과 선진기술을 도입하여 국내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다양화된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북정책에서의 시사점으로 하나는 남북 농업협력 사업이 남북 간 농업구조를 상호 보완하는 방식으로 한반도 농업의 경쟁력을 제고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현 시점을 남·북·러, 남·북·중의 동북아 농업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설정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면 북한은 그들이 보유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되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부족한 농업 부문의 자본과 기술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very meaningful to analogize the investment demand and conditions of agriculture in North Korea by studying China's agricultural investment cases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investment cases in detail, it can be find that the recent investment by Chinese companies was concentrated in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It can be also checked that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in North Korea had diversified much which includes tobacco, beverages, condiments, cooking oil, alcohol, and noodl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purpose in attracting investment is to introduce more capital and advanced technologi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and meet diversified demand. One of the implications about policies toward North Korea is that the inter- 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 shoul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Peninsula by complementing the agricultural structure between the two Koreas.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taken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new paradigm of agricultural cooperation among South, North Korea and Russia, South, North Korea and China now. With the cooperation of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South Korea, North Korea will be able to make the most of its resources and meet the lack of capital and technology in agricultural sector.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대북 농업투자 현황과 주요 투자 기업
Ⅲ. 중국의 대북 농업투자 사례 분석
Ⅳ. 종합평가와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승현(Seung Hyun Yoon). (2018).중국의 대북 경제협력 실태 분석 : 대북 농업투자를 중심으로. 한반도미래연구, (), 195-236

MLA

윤승현(Seung Hyun Yoon). "중국의 대북 경제협력 실태 분석 : 대북 농업투자를 중심으로." 한반도미래연구, (2018): 195-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