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실습에서 예비 한문 교사가 겪는 수업의 어려움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sis of Teach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Chinese Class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백광호(Kwangho Baek)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20호, 409~4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예비 한문 교사가 사범대학 재학 중에 경험하는 여러 단계 중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인 교육실습에서 수업과 관련된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에서의 예비 한문 교사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을 높이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과목의 교수요목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제공한다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2025년에 전국의 사범대학을 대상으로 역량 진단이 있을 예정이다. 교원 양성기관 역량 진단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실시해 온 것으로, 이번에는 6주기 역량 진단이다. 2024년에 전국의 교육대학과 한국교원대학교가 우선 역량 진단을 받았다. 2024년에 진행된 양성기관 진단 결과와 현재 발표된 교원 양성기관 진단 편람을 미루어 볼 때,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이 크게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을 기르기 위해 교원 양성기관에서 어떠한 것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문헌 연구와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통해 예비 한문 교사가 교육실습 중에 겪은 어려움을 수집하고 고찰하였다. 내러티브 분석은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주제나 구조 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고는 이러한 과정을 따랐다.
본고에서 분석한 기초 자료는 교생들이 제출한 ‘교단일지’이고, 연구 참여자는 해당 기간에 실습을 다녀온 교생이다. 연구 자료인 ‘교단일지’ 가운데 교생들이 실습 중 수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기록한 것을 통해 예비 교사의 수업 역량을 높일 방안을 찾고자 했다.
교육실습 때 예비 한문 교사들이 경험하는 수업의 어려움 중 하나는 한문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수업으로 유도하여 수업 내용에 집중하게 할 것인가이다. 이는 예비 한문 교사의 수업 실패 경험이나 교단에서 맞닥뜨리는 수업의 딜레마 등을 해소하기 위한 전공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과도 관련되는데, 이를 위한 강의 내용 구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교육실습 중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피다 보니 교육실습을 가는 3학년이나 4학년 이전 학년부터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범대학에 소속된 학과뿐만 아니라 비사범대학이지만 교직 과정을 운영하는 학과에서의 교사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수업 역량과 관련된 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llenges related to teaching that prospective Chinese Classics teachers encounter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which is the most critical stage among the various phases they experience while in school.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prospective teacher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suggest how the syllabus for the course should be structured to enhance prospective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 2025, a competency assessment will be conducted nationwide for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competency assessment has been carried out periodically, and this time, it is the 6th cycle of the evaluation. In 2024, the competency assessment was first conducted for national education universities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published evaluation manual and the results of the 2024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is area by providing further insights. the study suggests ways to structure lecture content to strengthen prospective Chinese Classics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this paper,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Chinese Classics teacher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narrative research methods. Narrative analysis collects research data, analyzes the collected data to identify themes and structures, and presents the result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paper followed this process.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eaching practicum, it has become clear that instruc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begin from the prospective teacher stage.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in departments affiliated with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and non-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hat offer teaching certification programs. Additionally, they offe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urses related to instructional competency.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 연구 성과 및 연구 방법
3. 漢文 敎科의 敎育實習
4. 예비 한문 교사가 겪는 수업의 어려움
5.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사범대학 실습체계와 전공 교육과정
6.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아한학연구 제20호 목차
- 유럽 한국학에서의 한문 교육 효율화 방안 : 트랜스랭귀징 기반 인터랙티브 학습을 중심으로
- 과거제 폐지 이후의 경학 시험과 출제 문제 고찰: 『經義問對』 수록 시제를 중심으로
- 17~18세기 科擧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과 그 배경에 대하여
- 高麗朝鮮文人分韻賦詩研究
- 최치원의 「法藏和尙傳」 연구
- 교육실습에서 예비 한문 교사가 겪는 수업의 어려움 분석
- 科試 以後: 大韓帝國期 科擧 復元論에 대한 考察
- XML을 활용한 科文選集의 디지털화 방안 연구
- 迂廻와 複眼의 한문학 수업: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4개 전공 교과목의 사례
- 필사본 원문 입력 방식에 대한 종합적 고찰: 과시 자료를 중심으로
- 碩齋 尹行恁의 「四勿要義」에 나타난 ‘自省’의식: 『주역』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 『五洲衍文長箋散稿』의 한자학 지식 집성
- ‘한국식’ 한문의 커리큘럼에 대한 단상: 영미권 대학 교재에 활용할 정의, 범위, 용어, 문법, 예문
- [번역] 고려·조선 문인의 分韻賦詩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