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식’ 한문의 커리큘럼에 대한 단상: 영미권 대학 교재에 활용할 정의, 범위, 용어, 문법, 예문

이용수  0

영문명
Reflections on a Curriculum for 'Korean-Style' Sinographic Literature: Definition, Scope, Terminology, Grammar, and Textual Examples for Anglo-American Universitie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저자명
심규식(Kyusik Sim)
간행물 정보
『동아한학연구』제20호, 377~40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미권 대학 학습자를 위해 새롭게 편찬될 ‘한국 한문학’ 교과서는 한국 한문학사의 특수성을 보여줌으로써 중국 고전을 중심으로 한 기존 한문학 교과서와 차별화되어야 한다. 본고는 한국 한문학 교과서에 수록될 개별 챕터에서 문언어로서의 한문과 한국어 구어 간의 불일치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한국식’ 한문을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논한다. 이를 위해 총 2개의 파트(Parts), 그 이하 총 6개의 각론(Sections)을 조직하여 한국식 한문의 역사와 교육 범위, 문법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art I”에서는 한국 문학사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한국식 한문을 어떻게 정의하고 교육 범위를 설정할 것인지 검토한다. 해당 파트는 한국식 한문이 고안된 언어학적 이유를 밝히는 “Section 1”, 한국식 한문의 발전사를 서술하는 “Section 2”, 한국식 한문의 제 문체 중에서 이두를 교육 대상으로 선정한 사유를 명시하는 “Section 3”로 구성한다. “Part II”에서는 한국식 한문을 대표하는 이두의 문법 요소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또한 어떠한 예문을 통해 그 용례를 교육할 것인지 검토한다. 해당 파트는 이두의 기초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Section 4”, 이두의 문법 구조를 설명하는 “Section 5”, 예문을 통해 이두의 용례를 교육하는 “Section 6”으로 구성한다.

영문 초록

A Sino-Korean literature textbook for English-speaking college student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should aim to highligh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offering distinct value compared to previous textbooks that primarily focus on Chinese classics. This paper outlines the design of a curriculum for teaching ‘Korean-style’ Sinographic literature in a single chapter of the new textbook, which was developed to address the mismatches between literary Chinese and vernacular Korean. The proposed curriculum is divided into two parts, each with three sections, and is designed to systematically convey the history, scope, and grammatical features of ‘Korean-style’ Sinographic literature. Part I addresses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literature and examines how to define and delineate the boundaries of ‘Korean-style’ Sinographic literature. This part includes: Section 1, an explanation of the linguistic reasons behind the invention of ‘Korean-style’ Sinographic literature; Section 2, an overview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style’ Sinographic literature; Section 3, a justification for selecting Idu as a representative style among other Korean Sinographic writing systems. Part II focuses on approaches for teaching the grammatical elements of Idu and incorporating textual examples that demonstrate its practical usage. This part includes: Section 4,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elements of Idu; Section 5, an analysis of the grammatical structure of Idu; Section 6, textual examples illustrating the use of Idu in historical contexts.

목차

1. 서론: ‘한국식’ 한문 교육의 특수성과 난점
2. Part I,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한국식 한문’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교육 범위 설정
3. Part II,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한국식 한문’의 문법 요소와 예문 제시 방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규식(Kyusik Sim). (2025).‘한국식’ 한문의 커리큘럼에 대한 단상: 영미권 대학 교재에 활용할 정의, 범위, 용어, 문법, 예문. 동아한학연구, (), 377-408

MLA

심규식(Kyusik Sim). "‘한국식’ 한문의 커리큘럼에 대한 단상: 영미권 대학 교재에 활용할 정의, 범위, 용어, 문법, 예문." 동아한학연구, (2025): 377-4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