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ob Satisfaction by type of beauty industry a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MZ generation beauty industry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임경아(Kyoung Ah Lim) 박영진(Young 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7권 제1호, 38~5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뷰티산업은 소비자들의 변화되는 특성에 따른 선호도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 중 36.92%를 차지하는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의 뷰티산업별 유형과 직무만족도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로, 첫째는 뷰티산업 유형에 따른 뷰티산업 형태와 창업의도를 알아보고, 둘째는 뷰티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를 대상 2024년 9월4 일부터 2024년 10월 4일까지 실시하여 154부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뷰티산업 유형에 따른 뷰티산업 분야는 ‘헤어’가 65.6%로 가장 많았고, 산업형태는 ‘프랜차이즈’가 54.5%, 이었고, 창업의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타(M=3.66), 피부(M=3.64), 헤어(M=3.36), 메이크업(M=3.08) 순으로 창업의도가 높았으나, 이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직무만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의 하위요소인 급여, 교육프로그램 순으로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의 급여, 교육프로그램의 만족이 높을수록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현실적인 급여 체제와 인성, 기술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이 보편화 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beauty industry is constantly developing to satisfy the preferences and desires of consumers according to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the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beauty industry workers, who account for 36.92% of the Korean population,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was investigated.
Research Question First, the form and intention of the beauty industry according to the type of beauty industry were investigated, and seco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wa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4, 2024 to October 4, 2024 for MZ generation beauty industry workers and 154 copies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hair' was the most common in the beauty industry according to the type of beauty industry at 65.6%, 'franchise' was followed at 54.5%,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tart-up intenti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was high in the order of others (M=3.66), skin (M=3.64), hair (M=3.36), and makeup (M=3.08),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start-up intention,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art-up intention in the order of salary and education program,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and education program, the more affected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This suggests that in the future, a realistic salary system, personality, and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generaliz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 반영구메이크업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전이 및 직무효능감 관계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제뉴스 키워드 이미지 분석 : 펜데믹 전후 비교
- ‘질베르 시몽동(Gilbert Simondon)’ 철학에서 나타난 ‘기술개념’과 ‘필립 파레노(Philippe Parreno)’의 작품을 통한 확장된 조각의 현대화
- 대학생들의 통일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 일러스트레이터 콘텐츠 제작 환경에서의 생성형 AI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용사의 헤어미용교육 인식과 문제해결능력 및 직업전문성 관계 연구
- 뷰티전공 성인학습자의 온라인강의 품질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사회적 고립 이미지와 학교생활 적응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 아이돌 산업의 동향과 휴먼이미지
- OTT서비스 특성 및 심리적 혜택과 Z세대 브랜드 충성간의 관계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