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상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 연구
이용수 51
- 영문명
- Exploring Coaches’ Subjectivity in Applying Meditation to Coaching - A Q-Methodology Approach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김화영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2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통해 명상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코치들의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들이 명상과 코칭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칭에 명상을 활용하는 데 대한 37개의 진술문을 구성하고, 명상 경험이 있는 코치 30명을 대상으로 Q-software를 통해 Q 분류 작업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Ken-Q 프로그램을 통해 요인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주된 인식 유형이 도출되었다. 1유형은 ‘본질 중심 성찰형’으로 명상을 ‘코칭과 철학적 지향점이 다르지 않으며, 코칭 전 과정을 이끌어갈 수도 있는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2유형은 ‘활용중심 도구형’으로 명상을 ‘코칭과는 별개의 영역으로 코칭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실용적인 도구’로 인식하였다. 3유형은 ‘고객중심 조율형’으로 명상을 ‘근거 있는 유용한 접근이지만 코치가 충분한 전문성을 확보하고 고객과의 협의를 반드시 거친 뒤에 활용 가능한 개입 중의 하나’로 인식하였으며 4유형은 ‘코치중심 앵커형’으로 명상을 ‘코치의 자기관리 및 성찰을 강화함으로써 코칭에 도움을 주는 코치의 성장 도구이자 경험적 실천 도구’로서 인식하고 있었다. 각 유형은 코칭 과정에 명상을 수용하는 관점과 태도, 한계점이 다름을 보여주며, 이는 향후 명상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실천 전략이 코치의 주관적 인식 유형에 맞춰 차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코칭 현장에서 코치들의 주관성을 바탕으로 명상과 코칭의 융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 있어 이론적․실천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명상코칭이 실제적으로 시대적 요구에 걸맞은 전문 영역으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coaches’ subjective perceptions of meditation-based coaching through Q-methodology and to reveal how they interpret and ac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coaching. For this purpose, 37 statements regarding the use of meditation in coaching were constructed, and Q-sorting was conducted with 30 coaches who had meditation experience using Q-software. Fact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Ken-Q program revealed four main perception types. Type 1, ‘Essence-centered Reflective Type,’ perceives meditation as ‘an important paradigm that does not differ in philosophical orientation from coaching and can lead the entire coaching process.’ Type 2, ‘Application-centered Tool Type,’ recognizes meditation as ‘a practical tool in a separate domain from coaching that can assist the coaching process.’ Type 3, ‘Client-centered Tuning Type,’ perceives meditation as ‘one of the interventions that can be utilized only after the coach has secured sufficient expertise and must consult with the client, although it is an evidence-based useful approach.’ Type 4, ‘Coach-centered Anchor Type,’ recognizes meditation as ‘a growth tool and experiential practice tool for coaches that helps coaching by strengthening the self-management and reflection of coaches’ Each type shows different perspectives, attitudes, and limitations in accepting meditation in the coaching process, suggesting that future development of meditation coaching programs and educational practice strategies nee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coaches’ subjective perception type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integrating meditation and coaching based on coaches’ subjectivity in the coaching field, and is expected in the future, meditation coaching to expand into a specialized field that more practically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근로자 소비활성화를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심리사회적 관점의 발견
- 국내 모래놀이치료 질적 연구 동향 분석
- 명상을 활용한 코칭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 연구
- 대학생 진로 교육에서의 에니어그램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코칭문화 구축 및 HR(Human Resources)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주관적 행복감의 맥락에서 매우 민감한 사람(HSP)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공격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사관생도의 성격 특성과 진로 이탈: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를 통한 관계 분석
- 의미코칭 적용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명상코칭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메밀을 활용한 동물교감활동이 치매환자 가족의 행복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긍정심리학과 코칭의 연관성 및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