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Response Function of ‘X+shi’ in the Dialogue Corpu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최진이(Jin-Y Choi)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0輯, 159~1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대화코퍼스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개별적 연구에 국한되어 있던 ‘X是’구조 응답표지들의 기능 및 특징들을 정리 및 개괄함으로써 ‘是’가 출현하는 응답표지들의 담화적가치를 재고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선행발화문과 ‘X是’응답문을 하나의 인접쌍으로 인식하여 담화기능을 세분류하였다. 또한, 대화코퍼스의 통계를 통해 응답표지 ‘也是’, ‘那是’, ‘才是’, ‘我是’의 응답기능이 갖는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자주출현하는 문형인 중복과 대구문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응답문의 ‘X是’는 자신 고유의 문법적 의미보다는 응답표지로서의 기능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중복문형과 대구문형은 ‘강조’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 동시에 강조의 초점대상에서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response function of ‘Xshi’ in conversation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a dialogue corpus. It also summarizes and outlines the functions and features of response markers ‘Xshi’, it have been limited to individual studies, and attempts to reconsider the discursive value of response markers in which ‘shi’ appears. First, we considered the preceding sentence and the ‘X是’ response sentence as a ‘adjacency pairs’ ,and categorized the discourse functions. This showed that even the same form of ‘Xshi’ has different response functions depending on what type of preceding sentense utterance it is responding to. In addition, we selected ‘ye-shi’, ‘na-shi’, ‘cai-shi’, ‘wo-sho’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functions. The most diverse response function is ‘ye-shi’,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ame function as ‘na-shi’ and ‘wo-shi’ and ‘positive answer’ and ‘humble/concession’ as ‘cai-shi’. The combined reduplication and capitalization of these ‘Xshi’ sentences have a common feature of ‘emphasis’, but they differ in terms of the focus of emphasis.
This shows that ‘Xshi’ can be used within a response sentence to organize multiple forms depending on the attitudes of the respondent and the preceding speaker, and the context of the event, and that it can exhibit different response functions.
목차
1. 서론
2. ‘是’의 담화기능에 관한 선행연구
3. ‘X是’인접쌍의 기능 및 유형
4. ‘X是’의 유형 별 응답기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第90輯 목차
- 텍스트 마이닝과 목차 분석을 통한 『여씨춘추(呂氏春秋)』, 『회남자(淮南子)』, 『춘추번로(春秋繁露)』의 사상적 특징 비교 연구
- “躬履清蹈”考
- 台灣華語裡日語借詞差異化分類硏究
- 柳宗元 우언문 속 “輔時及物”과 “利安元元” 사상 분석
- 韩国数字经济基础法律制度构建对中国的启示——基于“数字四法”与“数字三法”的比较
- 대화코퍼스에 나타난 ‘X是’의 응답기능 재고찰
- 중국 선전시 후커우 제도 변화 연구
- 확장하는 중국 출판 시장 속 한국 아동 도서의 수출 전략
- 关于中国双减政策研究的动向分析——以Citespace可视化为中心
- 중국 주식시장의 비대칭 변동성 전이 분석 - Rolling Asymmetric VAR-BEKK-GARCH 모형을 이용하여
- GPTs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 중국어 회화 수업 방안 탐색 - 자기주도학습과 맞춤형 피드백 전략
- 괴이한 이야기의 지리적 정보와 의미지향 - QGIS를 활용한 裴鉶 『傳奇』 분석을 중심으로
- 『釋迦如來十地修行記』의 접속사 연구
- 中国浙中地区应急小语种服务人才培养体系构建研究
- 청대 장서 문화의 특징과 학문적 의의
-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를 활용한 『모택동선집(毛泽东选集)』의 비판적 문화 담론 분석
- 중국고전소설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 『西遊記』 전자문화지도 구성 방안을 중심으로
- 현대 중국어 ‘把’구문에 관한 소고 - 구문의미, 정보구조, 사용환경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중국어 기본어휘의 교과서 내 활용 현황 분석
- 淑女에서 后妃까지 - 초기 유가의 『국풍』 해석과 여성 이해
- 중국 현대 여성의 저항과 전복 - 중국 드라마 <겨우, 서른>을 중심으로
- 中小企业ESG导入意图影响因素的韩中比较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