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어 담화표지 скажем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Russian Discourse Marker Skazhem
발행기관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저자명
김정일(Jungil Kim)
간행물 정보
『러시아유라시아연구』제13호, 19~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러시아어 담화표지 скажем에 대한 어휘 사전과, 담화표지 사전의 기술을 살펴보고, 사전들 간의 скажем의 기술 방식에 적지 않은 차이가 있음에 주목한다. 어휘사전의 경우 상위 순번에 발화동사로서의 어휘적 의미가 배치되고, 하위 순번에는 어휘적 의미나 상적인 의미가 약화되는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이 배치되고 있다. 담화표지 사전들에서는 담화표지로서의 기능들이 집중적으로 기술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사전에서 흥미롭게도 담화소사 скажеем의 대표적인 기능을 크게 (1) 예시기능 (2) 가정적 상황 제시의 기능으로 분리해 기술하고 있다. 이 두 가지 기능 중 하나만 제시되어 있거나 두 가지 모두 기술되어 있더라도 서로 배제적이거나 별개의 기능으로 기술되어 있다. 예시기능을 수행할 경우 скажем은 다른 담화소사인 например와 동일하고, 가정적 상황 제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допустим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예문들을 분석해본 결과 скажем과 например와의 교체가 가능하지 않은 맥락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의 이 둘의 관계가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적 위계의 측면에서 구분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 Prince의 추정된 친밀도의 위계의 틀을 적용해 본 결과 скажем은 하부영역 전체에서 사용가능하고, 화자의 보다 적극적이고도 자의적인 개입이 일어나고 있다. например의 경우는 예시에 논리성이라는 요인이 깊게 작용하고 있어 추정된 친밀도의 틀의 일부에서만 적용이 된다. 이는 скажем의 태도설정형 담화표지의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문제는 즉흥적 발화의 상황에서 자의적 예시를 선택을 하고자하는 화자의 의도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자의 수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화자의 바램사이의 길항관계속에서 화자는 자신의 발언이 가지는 단언성을 약화시키고 보다 유연하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게 되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상호배제적이었던 예시기능과 가정적 상황제시기능이 인지적으로 서로 연관이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ussian discourse marker скажемis described in both general lexical dictionaries and specialized discourse marker dictionaries, and draws attention to the notable differences in the ways these sources approach скажем. In lexical dictionaries, the primary entries typically present its lexical meaning as a verb of speech, while its function as a discourse marker—where the lexical or aspectual meaning is weakened—is placed in secondary entries. In contrast, discourse marker dictionaries focus extensively on describing its discourse-related functions. Interestingly, most dictionaries categorize the principal functions of the discourse particle скажемinto two major types: (1) exemplification, and (2) the presentation of hypothetical situations. In many cases, even when both functions are mentioned, they are treated as mutually exclusive or entirely separate. When functioning as a marker of exemplification, скажемis described as equivalent to the discourse particle например(“for example”); when presenting hypothetical situations, it is seen as performing a role similar to допустим(“let's suppose”). However, analysis of actual usage examples reveals that there are contexts in which скажем and например are not interchangeable. This suggest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informational hierarchy that exists between speaker and addressee. Applying Prince’s framework of assumed familiarity, it becomes evident that скажемis applicable across the entire lower domain of the hierarchy, involving more active and discretionary speaker involvement. In contrast, напримерis more tightly associated with logical exemplification, and therefore operates within a more limited scope of the assumed familiarity scale. This clearly highlights the attitudinal nature of скажемas a discourse marker. The issue lies in the tension between the speaker’s intention to select and present an arbitrary example in spontaneous speech, and the simultaneous desire to maximize the addressee’s acceptance of this choice. Within this tension, the speaker tends to weaken the assertiveness of their utterance and adopt a more flexible and cautious attitude. It is precisely at this point that the previously considered mutually exclusive functions—exemplific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hypothetical situations—become cognitively interconnected.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을 대신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일(Jungil Kim). (2025).러시아어 담화표지 скажем연구. 러시아유라시아연구, (), 19-41

MLA

김정일(Jungil Kim). "러시아어 담화표지 скажем연구." 러시아유라시아연구, (2025): 1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