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淑女에서 后妃까지 - 초기 유가의 『국풍』 해석과 여성 이해

이용수  22

영문명
From Lady to Queen : Interpretation of Guofeng and Understanding of Women in Early Confucianism through Excavated Texts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이두은(Du-Eun Lee)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0輯, 247~27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래 문헌과 출토 문헌을 비교 활용해 초기 유가(儒家)의 『국풍(國風)』 해석과 여성 이해를 탐색하고자 한다. 전국(戰國) 시기의 『시경(詩經)』 해석에서 여성은 색(色)과 예(禮)의 긴장 속에 위치한 존재로 묘사되며, 색(色)은 부정적인 개념이 아니라 예(禮)를 통해 조율되어야 할 자연스러운 인간 본성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한대(漢代)에 들어서면서 『시경』 해석은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갖추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여성의 역할도 후비(后妃) 제도 안에서 재구성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문헌 해석상의 차이를 넘어 제국 체제 내에서 여성의 역할과 규율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반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rpretation of Guofeng(國風) and the perception of women in early Confucianism through excavated texts. In the pre-Qin period, interpretations of the Book of Songs(詩經) depicted women as figures caught in the tension between ‘se(色, desire)’ and ‘li(禮, ritual propriety)’, where ‘se’ was not considered inherently negative but rather an innate human nature that needed to be regulated through ‘li’. However, during the Han dynasty, the Book of Songs solidified its status as a canonical text, leading to a reinterpretation of women’s roles within the moral framework of ‘houfei(后妃, empresses and consorts)’. This transformation not only reflects differences in textual interpretation but also illustrates how women’s roles and sexual norms evolved within the imperial system. This study particularly draws on recently excavated bamboo and silk manuscripts, including Shanghai Museum Collection of Chu Bamboo Manuscripts(上海博物館藏楚竹書), Anhui University Collection of Warring States Bamboo Manuscripts(安徽大學藏戰國竹簡), Mawangdui Han Tomb Silk Manuscripts(馬王堆漢墓帛書), and Beijing University Collection of Qin and Han Bamboo Manuscripts(北京大學藏秦漢竹簡). These materials provide new insights into early Confucian interpretations of female imagery in Guofeng, particularly before and after the Qin-Han transi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숙녀와 에로스: 전국 시기의 『시』 해석과 여성
3. 후비와 젤로스: 진·서한 시기의 『시』 해석과 여성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두은(Du-Eun Lee). (2025).淑女에서 后妃까지 - 초기 유가의 『국풍』 해석과 여성 이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247-271

MLA

이두은(Du-Eun Lee). "淑女에서 后妃까지 - 초기 유가의 『국풍』 해석과 여성 이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247-2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