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부통제가 청렴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Effect of Internal Control on Integrity : Evidence from Public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한국부패학회
- 저자명
- 이재연(Jae Yo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부패학회보』제30권 제1호, 147~1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내부통제 수단인 내부감사와 일상감사가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의 청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청렴·감사 인력의 조절효과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감사 활동의 효과성과 감사역량의 상호작용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평가자료와 공공기관 감사 관련 데이터를 패널 자료로 구축하고, 순서형 로짓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감사는 내부청렴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부청렴도에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감사는 내부와 외부 청렴 인식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실질적 부패 예방 효과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청렴·감사 인력은 내·외부 청렴 인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감사 활동의 효과를 강화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내부감사와 감사 인력 간 상호작용에서는 감사 효과의 체감 현상이 나타나, 단순한 감사 횟수의 확대보다는 질적 향상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감사 제도에 대한 실증적 평가를 통해 내부통제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청렴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및 실무적 기여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nal audits and routine audits(key internal control mechanisms in public organizations) on perceptions of integrity among employees and external stakeholder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udit personnel capacity to assess how organizational resources interact with audit effectiveness. Using panel data from 113 public organizations between 2017 and 2021, the study employs ordered logit models based on Korea's national integrity evaluation system.
The analysis finds that internal audit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perceptions of integrity, highlighting their role in fostering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within organizations. However, internal audit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external perceptions. Routine audits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ither internal or external integrity perceptions, raising concerns about their preventive effectiveness. Meanwhile, the number of integrity and audit personnel positively affects both internal and external perceptions, suggesting that organizational capacity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audit functions. Notably,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ternal audits and audit personnel reveals diminishing returns, indicating that increasing audit frequency alone may not enhance integrity perceptions without qualitative improvements in audit capac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audit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and offers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integrity through strategic improvements in audit design, personnel, and implementation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투명성기구(TI)의 부패인식지수(CPI) 분석 및 개선전략
- 영국의 공익신고자 보호 제도에 관한 연구
- 내부통제가 청렴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감사원 감사의 개념과 적법성 판단 - 대법원 2024. 5. 9. 선고 2024도1606 판결 평석
- 사립대학교수의 이해충돌에 관한 헌법적 소고
- 범죄학적 관점에서 뇌물범죄의 구조적 원인 - 한국 사회를 중심으로
- 지방의회의 숙의적 주민참여제도의 구축과 제도설계
- 보츠와나의 정치리더십과 반부패정책
- 제왕적 대통령제에 따른 부패 방지를 위한 대통령 기록물의 역할 - 닉슨의 워터게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BEST
더보기법학 > 민법분야 NEW
- 건설현장의 효과적인 CPTED적용을 위한 스마트 기술 활용방안 연구
- 고양 시청사 건립 지연에서 나타난 이슈에 관한 주민 의견조사 연구
- 공간회귀분석을 통한 여대생 밀집지역의 노상범죄 특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