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의 형성과정 및 청년의 학습경험 분석 - ‘윙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Learning Experience of Youth in the Village-Based Youth Community : Focusing on the case of 'Wing Wing'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서린(Seorin Choi) 김은경(Eu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4호, 280~315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들이 그들 스스로의 문제와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을 기반으로 공동체를 조직하고 실천한 사례에 주목하여 공동체의 형성과정과 그들의 학습 경험을 해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이해 D시 청년공동체 ‘윙윙’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의 형성과정은 첫째, ‘발아기: 청년 개개인의 필요에 의한 유연한 집합체’에서 둘째, ‘확산기: 청년 당사자로서 청년 문제에 관여하는 활동체’로, 셋째 ‘지속기: 마을과의 연계와 상생을 만들어가는 마을공동체’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난다.
청년들은 마을활동가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하며,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마을에서 새로운 실험을 끊임없이 도모한다. 그리고 갈등 및 위기를 극복해 나가면서 호혜적 연대의 방식으로 마을과 상생하는 공동체를 꿈꾼다. 구성원의 학습을 추동하는 공동체, 마을 차원의 환경적 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마을에서 공동체적 방식으로 마을 구성원들이 연대할 수 있는 접점을 확대하여 학습으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terpreting the process of community formation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by focusing on cases where young people organized and practiced a community based on their village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community issues. To understand this, we selected the D City youth community ‘WingWing’ and conducted a case study.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process of forming a village-based youth community grew from the ‘germination stage: a flexible collective based on the needs of each young person’ to the ‘expansion stage: an activist group that engages in youth issues as a young person’ and the ‘sustaining stage: a village community that creates connections and coexistence with the village.’ The young people discover a new identity as village activists and, based on their successful experiences, continuously seek new experiments in the village. And, as they overcome conflicts and crises, they dream of a community that coexists with the village in a reciprocal solidarity manner. We found that there are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village level that drive the learning of members, and we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contact points where village members can solidarity in a community-based manner and expan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의 형성과정
Ⅴ.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에 참여한 청년의 학습경험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 직업능력개발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0년간(2003∼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신입사원 이직 예측 요인 탐색: 성별 간 차이 비교
- 장애 성인과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의 통합교육 인식과 요구 분석
- 기초자치단체의 평생교육 SNS 마케팅 활동 특성, 평생교육 브랜드이미지, 평생교육참여의지의 관계: 기초자치단체 SNS 채널 가입 주민을 대상으로
-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의 형성과정 및 청년의 학습경험 분석 - ‘윙윙’ 사례를 중심으로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국내 일터학습 연구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토픽 모델링
- 영농실천공동체에서 승계형 청년농업인의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 졸업대학 소재권역 간 첫 일자리 질의 차이와 영향요인: 성인 진로교육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